•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시동원체제와 퇴계학: 아베 요시오와 박종홍의 연속성 (The Characteristics of Toegyehak in the Wartime Mobilization System: Abe Yoshio’s View vs. Park Jong-Hong’s View)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4.12
21P 미리보기
전시동원체제와 퇴계학: 아베 요시오와 박종홍의 연속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36권 / 4호 / 121 ~ 141페이지
    · 저자명 : 박균섭

    초록

    일제강점기의 식민교육은 병영과 학교, 군대와 교육의 일치를 지향하는 교육체제였다. 특히 1930~40년대의 전시동원체제를 규정하자면 이는 철학・사상・문화・교육의 파멸공간 내지 불모지대나 다름이 없었다. 그런데 역설적인 것은 그 파멸과 불모의 지점에서 퇴계학이 일본의 관제・관변 학자들에 의해 호평 속에 강조되었다는 사실이다. 이는 퇴계학의 본연에 대한 관심이 아니라 퇴계를 앞장세워 저비용-고효율의 식민교육을 추진하기 위함이었다. 그 대표적인 경우로 아베 요시오가 『이퇴계』(1944)에서 강조한 “반도제일의 교학자”이자 “도의철학의 창시자”로서의 퇴계론이라고 말할 수 있다. 퇴계의 행실과 사상을 모범으로 삼아 조선인 모두가 황국신민으로서의 심혼을 연마하자는 것이 아베 요시오의 논지였다. 그야말로 퇴계를 전쟁인문학의 선봉에 내세우고 퇴계를 빙자하여 전쟁과 죽음을 추동했던 것이다. 아쉽게도 해방이후의 퇴계학은 해방이전의 퇴계학을 비판적으로 극복하지 못했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아베 요시오의 퇴계론을 반복・재생산하는 가운데 퇴계를 “도의의 사표”로 내세운 박종홍의 퇴계론을 들 수 있다. 해방이후의 퇴계학 연구에서 전시동원체제의 잔영을 걷어내지 못한 채 주체성 확립과 국민정신 교육을 표방했다는 것은 한국교육의 서글픈 자화상이다.

    영어초록

    The word colonial education was used in a military context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bove all, it is stated that the mobilization system in wartime can be named destruction and sterility in a viewpoint of philosophy, thought, culture, and education during 1930~1940’s Chosun. Paradoxically, Toegyehak was emphasized with a favorable comment by Japanese government circles and official regulation at the age of sterility. It is not for an interest in intrinsic view on Toegye studies but for promoting low-cost/high-effective colonial education with Toegye at the head. It could be a representative case that Abe Yoshio’s YITOEGYE(1944) stressed Toegye as a distinguished scholar in Korean peninsula and the founder of moral philosophy. Abe Yoshio’s point of an argument was that all Korean should study hard with whole heart and soul as a Japanese subject by making after a model of Toegye’s behavior and ideology. It was indeed a drive for war and death with Toegye in the vanguard of warfare humane studies. It is highly regrettable that the Toegyehak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could not overcome critically that of before the liberation. An representative case was a study of Toegyehak & outstanding project by Park Jong-Hong which put up Toegye a paragon of morality. It is a sorrowful self-portrait that Korean education established national identity and moral education without criticism on the colonial context in the study of Toegy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