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자서절요의 편찬이 퇴계학 성립에 미친 영향 (The Influence of Jujaseojeolyo Compilation on the Establishment of the Toegye Stud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2.11
34P 미리보기
주자서절요의 편찬이 퇴계학 성립에 미친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49호 / 79 ~ 112페이지
    · 저자명 : 이상호

    초록

    이 논문은 이황李滉의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편찬 시기와 그 이유를 확인함으로써, 주자서절요 편찬이 퇴계학 형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려 한다. 이는 이황이 주자학을 어떻게 이해하고 어떠한 부분들을 계승하면서 퇴계학을 형성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려는 것으로, 이를 통해 우리는 ‘퇴계학’의 지향점과 그 구체적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먼저 주자서절요 편찬시기와 사단칠정 및 심경부주에 대한 중시가 드러나기 시작하는 시점을 확인 함으로써, 주자서절요 편찬과 그의 철학적 입장이 관계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3장에서는 이황이 왜 하필 주자 편지를 중심으로 주자학을 이해하고 있으며, 그가 바라보는 주자 편지의 특징과 의미를 확인하려 한다. 이는 주자서절요 편찬이 퇴계학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4장에서는 주자대전의 주희 편지글을 주자서절요 로 절요 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중심으로 주자서절요 편찬이 퇴계학 형성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이 논문은 퇴계학의 지향점이 주자학의 형이상학적 구조나 이론적 틀을 완성하는 데 있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황은 주희의 편지를 통해 구체적인 실천 방법으로서의 주자학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구체적인 실천에 대해 관심을 가졌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황이 주희의 편지글을 논어와 같은 반열에서 중시하는 이유이며, 나아가 그가 소학을 중시했던 이유와도 궤를 같이 한다.
    특히 소학의 강조는 이황이 말하는 ‘실천’이나 ‘경공부’가 이론이나 당위의 영역이 아니라 구체적인 현실을 담보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앎과 실천의 결합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규정한 이황의 생각으로, 이는 이른바 ‘실천철학’으로 규정되는 퇴계학의 구체적 지향점이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드러낸 지점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mpilation of Jujaseojeolyo (朱子書節要) on the establishment of the Toegye study by confirming the time and reason of the compilation of Jujaseojeolyo by Yi Hwang (李滉). The purpose of this is to confirm how Yi Hwang understood and interpreted the study of Zhu Xi and what parts of such study he inherited to establish the study of Toegye. Through this, we can understand the direction of the Toegye study and its details. To achieve this, the paper reviews whether the compilation of Jujaseojeolyo is related to his philosophical stance by confirming the time when Jujaseojeolyo was compiled and the importance on Sadanchiljeong and Simgyeongbuju started appearing. Based on this, Chapter 3 discusses the reason why Yi Hwang understood the study of Zhu Xi with a focus on Zhu Xi's letters and analyzes his perspective toward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Zhu Xi's letters. This is to figure out what kind of impact the compilation of Jujaseojeolyo had on the Toegye study. Then, Chapter 4 looks at the impact of Jujaseojeolyo compilation on the establish ment of the Toegye study by focusing on characteristics that have appeared in the process of compiling Zhu Xi’s letters from Jujadaejeon to Jujaseojeolyo.
    Through the above discussions,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direction of the Togye study is not about completing the metaphysical structure or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study of Zhu Xi. Yi Hwang perceived the study of Zhu Xi as specific realization methods through these letters, and was interested in actual practices that were required to happen in various situations based on such understanding. This is why Yi Hwang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Zhu Xi’s letters in the same level as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this is the same way as how he valued Sohak.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n Sohak shows that the “practice” and “hard study” that Yi Hwang valued should be based on concrete reality rather than theories or justification. This is his idea of how knowing and practices are supposed to be combined, which clearly shows the direction of the Toegye study and is referred to as “practical 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