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의사소통 교과융합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the Subject Convergence Program for Cultivating Communication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1.04
14P 미리보기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의사소통 교과융합 프로그램의 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교육 / 32권 / 51 ~ 64페이지
    · 저자명 : 이영석, 장용규, 윤여범, 이재승, 김동식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의사소통역량 함양을 위해 교과 융합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연구 참여 학생들의 의사소통역량을 함양하는데 교과 융합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3개반 61명을 대상으로 교과 융합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은 8주간에 걸쳐서 8차시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졌는데, 우선 프로그램 적용 과정을 기술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심층면담과 수업일지 등을 수집하였다. 교과 융합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의사소통역량 진단 검사지를 활용하여, 연구 참여 학생들의 변화과정을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과정은 ‘팀 편성하기 및 정체성형성’→‘칭찬하는 방법 익히기’→‘칭찬하는 말 해보기’→‘게임 상황에서 칭찬하는 말 해보기’→‘원하는곳으로 셔틀콕 보내기’→‘게임에서 지켜야할 규칙 표현하기’→‘팀 배드민턴 모둠 대항전 하기’ 등으로재구성되었다. 의사소통능력 진단도구를 통해 연구 참여학생들의 사전, 사후, 추후 의사소통역량을 반복측정 분산분석 한 결과 사전, 사후, 추후 검사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4.045, p =.020). 의사소통역량의 하위요소별 변화 중 반복측정을 통한 연구 참여자들의 유의미한변화는 ‘정보수집’, ‘경청’, ‘창의적 의사소통’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자기 드러내기’, ‘주도적 의사소통’, ‘타인관점 이해’ 하위요소에서도 평균 변화가 있었지만, 유의미한 수준은 아님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고정 관념적 사고극복’ 하위요소에서는 오히려 사후 검사 평균 점수가 낮고, 추후 검사의 평균점수가 더 높게 나와 교과 융합 프로그램 적용의 의미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우선, 다양한 지역의 학교에서 많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비교해봄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보다 정밀하게 검증할 필요가있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역량도 함께 강화하기 위하여,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한 교과융합프로그램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a curriculum convergence program to cultivate thecommunication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curriculum convergence program in developing the communication competencies of the studentsparticipating in the stud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bject convergenceprogram was applied to 61 students in 3 classes of 5th grade at Yeonghwa Elementary School. Theprogram was conducted in 8 classes over 8 weeks. Data collection was largely carried out in twodirections. First, in-depth interviews and class journals were collected to technically reveal theprogram application proces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convergenceprogram, the change process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tudy was verified through‘Repeated ANOVA’ by using the communicative interpretation competency test sheet. The process ofapplying the program is 'Team formation and identity formation' →'Learn how to praise' →'Speakpraising words' →'Speak praising words in a game situation' →'Send a shuttlecock to the place youwant' →'What to keep in the game’ →'Team badminton group matchmaking'. Through thecommunication ability diagnostic tool,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post-, and post-test tests was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repeated measurement of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tudy(F =4.045, p =.020). Among the changes by sub-factors ofcommunication capacity, significant changes of the study participants through repeated measurementwere found in 'Information Gathering', 'Listening', and 'Creative Communication'. There was also anaverage change in the sub-factors of 'self-disclosure','leading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of other people's perspectives', bu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ot at a significant level. It wasconfirmed that the meaning of application of the subject convergence program was not revealedbecause the average score of the later test was hig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