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번역능력체계- 인지 및 신경심리학적 관점에서 - (Translationskompetenz - Versuch einer psychologischen Modellierung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10.06
27P 미리보기
통번역능력체계- 인지 및 신경심리학적 관점에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학 / 21호 / 223 ~ 249페이지
    · 저자명 : 정혜연

    초록

    본고에서는 우선 전문능력체계로 발전할 수 있는 잠재적능력체계로서의 통번역능력을 심리학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신경학적으로 뒷받침하고자 한다. 우선 2장에서는 통번역능력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통번역능력을 심리학적으로 재정의 해본다. 4장에서는 이렇게 정의된 통번역능력 중 통번역능력의 핵심을 이루는 언어전환능력에 대한 신경학적 근거를 찾아보고, 여기서 다중언어자에 대한 기존 연구를 참고로 해 통번역사의 언어전환능력을 유추해본다. 이러한 언어전환능력을 제외한 다중언어자의 언어능력체계에 대해서는 5장에서 다루며, 6장에서는 5장을 바탕으로 이러한 잠재적 언어능력이 발전한 형태로서 통번역사의 언어능력체계를 유추해본다. 마지막 6장에서는 통번역사의 언어능력체계를 포함하여 완성된 통번역능력체계 전반을 가설적으로 모델화해 본다.

    영어초록

    Dolmetschern und Übersetzern wird normalerweise zugetraut, dass sie in ihrem Fachbereich über eine bestimmte Expertise verfügen. Falls dem tatsächlich so ist, stellt sich die Frage, was diese Expertise nun genau ausmacht. Und in weiterer Folge erhebt sich die Frage, ob diese Kompetenz nicht nur in der Praxis, sondern auch in einem wissenschaftlichen Sinn nachweisbar ist. Dabei gehen wir von der hypothetischen Annahme aus, dass die Kompetenz der Dolmetscher und der Übersetzer (kurz Translationskompetenz) in ihrer Grundform ein psychologisches System ist, das, so wie die Sprachfähigkeit in jedem Menschen, in jeder multilingualen Person innewohnt.
    Dieses System teilt sich in audiovisuelle Kompetenz(Sicht- sowie Gehörfähigkeit),multilinguale Kompetenz, linguale Transferkompetenz, Gedächtnis, Aufmerksamkeit und nicht zuletzt Produktionskompetenz(Sprech- sowie Schreibfähigkeit) auf. Aufteilungen dieser Art finden sich auch in der benachbarten psychologischen Disziplin ‘Spracherwerb’(oder auch in neurowissenschaftlichen Arbeiten), an die wir uns in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anlehnen Um diese psychologische Unterteilung der Translationskompetenz auch physiologisch zu fundieren, suchen wir nach neurowissenschaftlichen Befunden, wie die obigen Kompetenzen im menschlichen Gehirn repräsentiert sind. Für jeden einzelnen Kompetenzbereich werden einschlägige neurologische Untersuchungen multilingualer Personen unter die Lupe genommen. Das Ergebnis dieser Analyse stellt aber lediglich das System einer potentiellen Translationskompetenz dar, welche durch Übungen erst zu einer fachmännischen Kompetenz entwickelt werden soll. Im nächsten Schritt wird daher weiter versucht, aus den Analysenergebnissen heraus die Antwort darauf zu finden, worin sich die fachmännische Kompetenz von der potentiellen Kompetenz unterscheidet. Diese Fragen betreffen zwar alle sechs Subkompetenzen des Translators, der Schwerpunkt liegt jedoch auf dem Bereich linguale Transferkompetenz, da diese Subkompetenz gemeinhin als am engsten mit der Aufgabe der Translation verbunden angesehen wird, gleichzeitig aber in der Psychologie,zumindest in Bezug auf Translatoren, am wenigsten untersucht worden ist. Aus den einschlägigen neurolinguistischen Arbeiten geht hervor, dass der linguale Transfer(oder, wie es in der Literatur heißt, Code-switching und Translation) im multilingualen Gehirn vor allem im Corpus Striatum stattfindet.
    Obige Befunde und Analysen dienen am Ende dazu, ein Modell aufzubauen, welches das System der Translationskompetenz umfassend erklären soll. Dieses Modell ist jedoch hypothetisch und muss durch Untersuchungen überprüft werden, die nicht beliebige multilinguale Personen, sondern gezielt Translator[en] als ihren Untersuchungsgegenstand einsetz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