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카이 마코토 영화의 스토리텔링 특징에 대한 분석 - 주인공 설정, 발단을 포함한 도발적 사건, 드라마틱한 상황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in Makoto Shinkai’s Films - Protagonist Setting, Inciting Incident Including the Beginning, Dramatic Circumstance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3.10
14P 미리보기
신카이 마코토 영화의 스토리텔링 특징에 대한 분석 - 주인공 설정, 발단을 포함한 도발적 사건, 드라마틱한 상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상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21권 / 6호 / 37 ~ 50페이지
    · 저자명 : 김삼력

    초록

    이 연구는 신카이 마코토 영화가 가진 스토리텔링의 특징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번 연구의 진행에는 9편의 필모그래피를 가진 감독의 스토리텔링 방식을 정리할 필요성, 감독이 작품을 제작해 오는 과정에서 스토리텔링 방식에 대한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함 등이 배경에 있다. 이를 위해 로버트 맥키, 데이비드 하워드의 창작론이면서 스토리텔링이 작동 하는 대표적인 두 개의 원리인 ‘도발적 사건’과 ‘드라마틱한 상황’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진행했다. 세부적으로는 작품별 주인공 설정, 발단과 도발적 사건의 특징, 드라마틱한 상황의 특징 검토를 위한 주인공의 목표, 목표에 대한 적대자(장애물) 등을 모두 정리하여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먼저 일반적인 영화의 주인공은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1명의 주인공이 주를 이루지 만, 신카이 마코토 영화에서는 2명의 주인공이 등장하는 사례가 더 많았다. 그리고 2명의 주인공이 등장하는 영화 중에 주인공들 사이의 시점 변화가 있는 작품도 다수 있었는데 감독이 같은 스토리텔링으로 영화와 소설을 함께 집필하는 방식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신카이 마코토의 영화에서 발생하는 도발적 사건은 발단과 경계가 불분명하거나 도발적 사건 자체를 특정 하기 어려운 작품이 다수 존재했으며 일반적인 영화의 스토리텔링보다 그 사건 자체가 늦게 일어나는 특징이 있었다. 또한, 그의 영화에 나타나는 드라마틱한 상황을 분석한 결과 역시 많은 작품에서 일부 주인공은 그 목표가 불분명하거나, 목표의 불분명으로 적대자(장애물)의 존재 역시 불투명하거나, 주인공의 목표가 도발적 사건에서 파생되지 않거나, 주인공이 목표 추구 자체에 적극적이지 않은 사례들이 있었다. 그런데 감독의 작품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분석하면서 확인된 주목할 만한 사실은 앞서 살펴본 신카이 마코토 영화 스토리텔링의 특징들이 연구의 결과와 같이 최근의 작품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감독의 이야기 방식이 작품을 거듭할수록 일반적인 영화 스토리텔링 방식에 가깝게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in Makoto Shinkai's films. The background of this research is in the necessity to derive the storytelling methods of the director, who has a filmography consisting of nine films, and to verify whether there are any changes in the storytelling methods used during the process of producing those films. To this end, this study intensively analyzed two typical principles of storytelling, ‘inciting incident’ and ‘dramatic circumstances’, which are creation theories of Robert McKee and David Howard as well. In detail, this study went through the protagonist character setting for each film,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ginning and inciting incident, and the goal of the protagonist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amatic circumstances, as well as the antagonist (obstacles) against the goal, with all subject to an analysis in this study. In general films, there is one protagonist who mainly leads the story, but there appear two protagonists in certain cases in Makoto Shinkai’s films. Out of his films in which two protagonists appear, many have changes in the point of view between the protagonists. He mostly wrote film scenarios and novels with the same storytelling method, and his way of writing appears to have affected these film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works in which the inciting incident that occurs in the film has an unclear beginning and/or boundary, or these inciting incidents themselves are difficult to specify and have the characteristic of occurring later than in the storytelling of general film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ramatic circumstances in his films, it was found, in many films, that some protagonists have unclear goals. Alternatively, the existence of antagonists (obstacles) is also unclear due to unclear goals, the goals of the protagonists are not derived from the inciting incident, or the protagonists are not very eager to pursue the goals. However, a noteworthy fact that was found in the analysis of the storytelling of Makoto Shinkai's work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rytelling in his films, as discussed above, are not well revealed in his recent works, as demonstrat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Hence, as he went through his works, his storytelling method changed, becoming closer to that of general fil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영상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