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민'의 텔로스(telos)와 1960년대 중반 『사상계』의 변전-6.4 운동 국면을 중심으로 (A Telos of Citizen and the Mutation of Sasang-gye in the mid 1960'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13.12
42P 미리보기
시민'의 텔로스(telos)와 1960년대 중반 『사상계』의 변전-6.4 운동 국면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강인문논총 / 38호 / 43 ~ 84페이지
    · 저자명 : 장세진

    초록

    1950년대 공론장의 역할을 담당했던 『사상계』는 1960년대 중반에 이르러 결정적인 전환의 계기를 맞게 된다. 이 글의 목적은 1964년의 6·3 사건을 분수령으로 『사상계』가 박정희 정권과 첨예한 대치 전선을 형성하게 된 국면을 자세히 살펴보고, 그 의의를 보다 적극적으로 평가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작업은 실제로 서로 긴밀히 연관되어 있는 두 가지 목표를 지향한다. 첫째, 매체론의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조명받지 못했던 1960년대 『사상계』의 질적 전환 국면이 어떠한 담론 자원을 정권과 경쟁적으로 전유하며 이루어졌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 글에서는 특히 이 시기 가장 호출 빈도가 높았던 민족주의라는 공공의 아젠다가 배분되고 분화되는 과정에 주목할 것이다. 둘째, 민족주의의 전유와 밀접하게 연동된 항목으로 이 글에서는 미국에 대한 인식 문제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사상계』의 6·3 운동 국면에 주목하는 이 작업은 결국 한국 사회의 ‘시민성’이 역사적으로 어떠한 경위를 통해 만들어졌는지 혹은 그로인해 어떤 특질들을 수반하게 되었는가 하는 문제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문화’와 ‘반문화’ 혹은 ‘대항문화(Counter-culture)’의 관계에서 일반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정도로, 한국의 시민사회는 ‘국가’나 국가와 결합한 ‘시장’ 영역에 대항하여 어느 정도 자유로운 운신의 폭을 확보할 수 있었을까. 만약, 그것이 우리의 기대를 초과하는 수준이라면, 혹은 시대적 조건으로 인해 어쩔 수 없는 한계를 보인다면 그 내용은 구체적으로 무엇이며 한국 사회의 시민성과 관련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그 현재적 의의는 과연 무엇이 될 수 있을까.

    영어초록

    The Sasanggye served as a public sphere in the 1950s, but in the mid-1960s it met a crucial turning poi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 Sasanggye came to a sharp confrontation with the Park Junghee regime, culminating in the 6.3 movement of 1964, and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is event. This project has two goals that are closely connected. First, I want to identify the issues that prompted the publisher of the Sasanggye, which had been somewhat out of the spotlight from the media theory perspective, to enter into fierce debate with the government. This debate motivated the Sasanggye to undergo qualitative transformation.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process of distribu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public agenda of nationalism,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word in this period. Second, in an item that is closely connected to the appropriation of nationalism, this paper also aims to examine the problem of how the United States was perceived. This project, while focusing on the 6.3 movement of Sasanggye,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blem of how “citizenship” in Korean society was created through a historical processes and which characteristics arose from such processes. To the degre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anti-culture” or “counter-culture” can be generally speculated about, how far could Korean civil society freely move in the struggle against the “state” or against the “market” that had combined with the state?If the degree of movement exceeds our expectation or shows inevitable limitations due to periodic conditions, what are the details and what is their significance in relation to citizenship in modern Korea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강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