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간 로카테익판 사원 주실 동벽 벽화 연구:미얀마의 불교적 제왕 이미지 구현 (Murals on the Eastern Wall of the Lokahteikpan Temple in Bagan: Imaging a King of the Law in Myanmar)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0.02
34P 미리보기
바간 로카테익판 사원 주실 동벽 벽화 연구:미얀마의 불교적 제왕 이미지 구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연구 / 39권 / 1호 / 75 ~ 108페이지
    · 저자명 : 하정민

    초록

    미얀마 중부지역에 위치한 바간(Bagan)의 로카테익판(Loka-hteik-pan) 사원은 내부 전면이 화려하게 채색된 벽화로 장엄되어 있다. 12세기 전반에 제작된 이 벽화의 주제는 불교와 관련된 것으로, 석가모니 붓다의 일생 장면인 불전(佛傳), 붓다의 전생인 본생담(本生譚), 그리고 과거 28불이 표현되어 있다. 그중 주실 동벽 벽화는 도리천 설법과 관련된 불전 내용이 매우 상세히 묘사되어 주목된다. 화면 중앙부와 상단에는 수미산 정상부에 위치한 도리천에서 설법하는 석가모니 붓다의 모습과 천상 세계의 장면이 표현되고, 그 아래에 붓다가 도리천으로 올라가는 모습과 설법을 마치고 내려오는 모습이 표현된 것이다. 한편 화면 하단에는 연등불 수기 본생 장면과 팔리어 경전 <라타나 숫타(Ratana-sutta)>의 내용이 도해되어 있다.
    로카테익판 사원 주실 동벽 벽화는 각 불전 및 본생담의 불교적 의미를 충실히 전달함과 동시에, 바간 왕의 불교적 제왕으로서의 의미를 강화하기 위한 의도로 계획된 것으로 보인다. 각 주제는 바간 시대 석각 명문을 통해 전해지는 바간의 신화와 전설에서 설하는 내용들, 즉 붓다를 왕과 동일시하여, 왕은 하늘에서 내려온 존재이며 이 세상에 풍요와 평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사고를 시각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즉, 붓다의 종교적, 초월적인 면을 강조하고, 동시에 왕과 붓다를 연결시킴으로써, 바간 왕실의 정치적 정당성 및 권위를 강조하려는 수사학적 표현이었다.

    영어초록

    Situated in Bagan, an ancient city in central Myanmar (Burma), the Lokahteikpan temple is well-known for its multicolored murals on the inner walls. The main theme of the murals, which appears to have been created in the early 12th century, is related to Buddhism, displaying various scenes of the historical Buddha’s life, the stories of previous lives of the Buddha, called Jataka tales, and twenty-eight Buddhas. It is worth noting that detailed scenes on the sermon on Mount Meru from the life story of the Buddha were depicted at murals on the eastern wall of the temple. At the center and top of the eastern wall, Sakyamuni Buddha preaching on Mt. Meru at Tavatimsa (Trāyastriṃśa) and the heavenly world were depicted, while below the Buddha is ascending upward to Tavatimsa and descends after the sermon. Illustrated at the bottom of the wall are scenes from the dīpaṁkara jātaka and the Ratana-sutta, a Buddhist discourse found in the Pali Canon.
    It seems that the murals on the eastern wall of the temple faithfully convey the Buddhist stories and teachings in the scenes, while they were intended to strengthen the significance of the Bagan king as king of the Law. Each scene visualizes the idea that a Bagan king is a being who has returned to earth from heaven and will bring prosperity and peace to the world by identifying the king with the Buddha. The idea is indicated in myths and legends from the Bagan period, which have been passed down through several stone inscriptions. The murals on the eastern wall at the Lokahteikpan temple is a visual rhetoric of the political legitimacy and authority of the Bagan king, and it was implemented by exhibiting religious and transcendent aspects of the Buddha and connecting the king to the Buddha.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