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테크노사피엔스(Tschnosapience)의 감수성과 소수자 문학-윤이형 소설을 중심으로- (The Sensibility of Technosapience and Minor Literature-A Study Focused on Yoon Yi-Hyung’s Novel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0.01
30P 미리보기
테크노사피엔스(Tschnosapience)의 감수성과 소수자 문학-윤이형 소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65호 / 7 ~ 36페이지
    · 저자명 : 김윤정

    초록

    윤이형의 작품들은 포스트휴먼의 다양한 양태를 상상하고 포스트바디의 무한한 가능성을 실험하며 포스트휴머니즘의 윤리성을 고찰한다. 등단 이후부터 SF서사를 꾸준히 발표해 온 작가의 문학적 상상력은 포스트휴먼에 대한 기대와 반성, 그리고 포스트휴머니즘에 내재한 모순과 한계를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글은 윤이형의 다양한 실험적 글쓰기에서 소수자 문학으로서의 가치를 확인하고 그 문학적 성과와 의의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윤이형은 기술과학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에서도 몇 가지 상징적 이미지를 통해 인물의 감정과 독자의 공감을 유도하는데, 그의 소설에서 ‘소파’와 ‘언덕’은 포스트휴먼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데에 필요한 요건이 무엇인지를 암시하고 있다. 포스트휴먼은 인간의 몸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 현실 세계의 모순에 저항하는 방식으로 탈신체화를 실현하는데, 몸을 배제하거나 소거한 상태에서 포스트휴먼은 허무와 절망감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따라서 ‘소파’와 ‘언덕’에 부여된 안락함과 평온함의 이미지는 인간에게 편안함과 굳건한 믿음을 주는, 개체적 고유성과 자율성을 담지하는 인간의 몸을 상징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윤이형의 소설은 ‘여성’과 ‘노인’의 몸을 로봇의 몸과 대비하여 보여준다. 인간과의 차별에 저항하는 로봇인 ‘수아’의 몸이나 노인의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립, 경제적 고난을 대비적으로 보여주는 로봇 ‘대니’의 존재는 소수자의 소외된 몸에 대한 문학적 표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사는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에 포스트휴먼의 존재적 의미와 가치를 논하는 것이며 동시에 패러다임의 변화, 인식의 변화, 실천적 행위가 없다면 포스트휴머니즘은 여전히 타자를 양산하고 소외시키며 배제하는 이념이 될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윤이형의 소설에 등장하는 테크노사피엔스는 안드로이드 여성, 사이보그 여성, 로봇 여성이며 그리고 노인 여성이었다. 윤이형의 소설에서 포스트휴머니즘은 여성의 존재적 가치와 개념에 대한 현대사회의 반성과 성찰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포스트휴먼 주체로서의 여성, 그리고 포스트휴머니즘에서의 여성을 테크노사피엔스의 감수성으로 문학화 한다는 점에서 윤이형의 소설은 사이보그 글쓰기라 하겠다.

    영어초록

    Works by Yoon Yi-Hyung imagine various aspects of the posthuman and experiment with limitless possibilities of a postbody, examining the ethicality of posthumanism. The literary imagination of the novelist who has constantly published SF narratives since her debut as a writer manifests in the expectation of and the reflection on the posthuman, and the representation of a contradiction and a limitation inherent in posthumanism. This paper aims to identify values of minor literature in Yoon Yi-Hyung's experimental writing and investigate its literary accomplishments and significance.
    Even in the novels set in the background of the technological era, Yoon Yi-Hyung induces the feelings of characters and empathy of readers through several symbolic images; in her novels, “sofa” and “hill” are suggestive of the necessary requirements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posthuman. The posthuman realizes a postbody by overcoming limits of a human body and resisting contradictions of the real world, and the posthuman cannot break away from nihility and despair in a condition where his body was excluded or eliminated. Hence, images of comfort and serenity associated with “sofa” and “hill” may be understood as symbols of a human body that present tranquility and solid belief to humans and possess individual uniqueness and autonomy.
    Novels by Yoon Yi-Hyung contrast the body of the “woman” and the “elderly” with that of a robot. The body of “Suah,” a robot resisting discrimination from humans, and the existence of the robot “Danny” contrasted with physical suffering, mental isolation and economic hardship of the elderly may be considered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an alienated body of minorities. These narratives deal with the existential meanings and values of the posthuman in the period of posthumanism; at the same time they show that posthumanism would still be an ideology that mass-produces, alienates, and excludes others if it were not for changes in a paradigm and awareness, and practical actions.
    The Technosapiens in Yoon Yi-Hyung's novels include an android woman, a cyborg woman, a robot woman, and an old woman. In her novels, posthumanism presupposes introspection and reflection of a contemporary society on the existential values and concepts of females. Novels by Yoon Yi-Hyung may be regarded as cyborg writing in that they depict women as the subject of the posthuman and women in posthumanism with the sensibility of Technosap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