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에 나타난 ‘서발턴’ 연구 ―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Subaltern in Lee Chang-rae’s Native Speake ― Focusing on Female Charactersr)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0.12
32P 미리보기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에 나타난 ‘서발턴’ 연구 ―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한인문학연구 / 28호 / 39 ~ 70페이지
    · 저자명 : 장민희

    초록

    이 논문은 재미 작가 이창래의 소설 『영원한 이방인』을 대상으로 디아스포라 여성들의 ‘서발턴’의 삶과 그들의 존재 방식을 고찰하였다. 남성 중심사회에서 억압의 형태로 존재하는 여성의 모습을 단순히 서술한 것이 아니라 남성 중심으로 돌아가는 사회에서 피해자가 되는 여성을 대상으로 ‘서발턴’이 재현되는 양상을 살펴, 여성들이 어떻게 주변화에서 주체로 그들의 자리를 새로이 배치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파악하여 보았다.
    이창래의 소설 『영원한 이방인』은 미국에서 이민 1세대의 부모를 둔 주인공 2세 헨리를 통해 굴절된 한국문화와 자아정체성의 혼란과 위기, 백인지배층이 세워놓은 높은 언어의 장벽으로 원어민의 길을 걷지 못하고 이방인으로 살아가는, 주류사회로부터 소외된 디아스포라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기에 여성의 중층적이고 복합적인 존재 방식이 드러난다.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은 하위 계층의 여성은 자신의 부당성을 주장하고 표현하여도 남성이 중심이 되어 돌아가는 사회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을뿐더러 서발턴의 말은 차단당한다고 하며 “하위 계층은 말할 수 없다”라고 주장하는데 특히, 동양권이 아닌 서양이라는 공간에서의 삶은 더더욱 그러하다는 것을 작품 속의 여성 인물들의 죽음이 증명한다. 여성 인물들은 종속성에서 비롯되어진 자연스러운 남성들의 폭력으로 미국이라는 공간에서조차 현실감을 상실, 판단의 부재를 불러온다. 하지만 이런 상황 속에서 일상의 균열로 주체로 거듭나고자 하는 저항의 의지를 통해 여성이 ‘하위주체’의 자리에서 ‘주체’자로 거듭나는 그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고는 스피박의 논문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Can the subaltern speak?)」을 원용,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에 나타난 ‘서발턴’에 대하여 분석하여 디아스포라 여성들의 정체성을 구명하는 데 그 의의를 둔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lives of diaspora women in the novel “Native Speaker”, by Korean-American author Lee Chang-rae. I observed how women are victimized into becoming subaltern through a patriarchal society. In addition, I’ve deduced an answer as to how women can hope to rise above those circumstances.
    The struggles of living as a foreigner without native speaking skills and the issues caused by the obfuscation of Korean culture, self-identity, and language barriers, are all reflected through the protagonist Henry. This story of diaspora alienated from mainstream society reflects the multi-layered and complex reality of women’s struggle for equality.
    Gayatri Chakravorty Spivak said that even though women in the lower class may express their injustice, they aren’t fully equalized in a society where men are dominant. Moreover, a subaltern’s perspective is seen as one that cannot be validated. The death of female characters in the work especially proves that life in the Western world, is not so dissimilar from the East in this regard. The natural violence of men stemming from extreme independence comes with a toxic lack of judgment, even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in this situation where women are “sub-human”, they can be seen as “fully human” through resistance against cracks in daily life.
    Therefore, this paper is an extension of Gayatri Chakravorty Spivak’s thesis “Can the subaltern speak?”, and Lee Chang-rae’s “Native Speaker”. It’s crucial to analyze the subaltern shown in these works to understand the discrimination of diaspora wom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한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