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택리지』 초기필사본 추정을 위한 서지적 고찰 (A Bibliographic Approach Towards the Identification of the Early T’aengniji Manuscript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12.12
20P 미리보기
『택리지』 초기필사본 추정을 위한 서지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1
    · 수록지 정보 : 서지학보 / 40호 / 155 ~ 174페이지
    · 저자명 : 최인실

    초록

    이 연구는 이중환(李重煥: 1690-1756)이 저술한 『택리지』의 필사본 중 저작이 끝난 1751년 후 60년 이내에 필사되었을 본을 추정하기 위한 형태 서지적 고찰이다. 우선 국내외 도서관에 소장된 92종 『택리지』 필사본의 형태적 양상 중 필사시대 추정에 있어서 유용한 지표를 선택했다. 그 다음에 기존 간사년 서지정보, 간지, 서명, 서발문, 필사자 표기 및 필사 내용 설명, 부록 등을 조사하여 필사본들의 필사시기를 도출하는 데에 유용한 서지 정보는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필사시기에 대한 소수의 기존 정보는 후기본에 편중되어 있고 『택리지』의 필사시기가 2세기 가까이 걸쳐 있는 실정에서 초기 필사본 파악에 직접적으로 유용한 변별기능을 갖는 형태 지표는 필사자 표기 및 필사한 내용에 대한 필사자 자신의 해설, 부록, 간지 등인 것으로 드러났다.
    여러 필사본을 비교하며 초기본을 추정하는 과정에서 발표자는 다음 방법이 필사시기 파악에 효율적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먼저 필사자를 확인하여 생몰년을 보고 시대적 정보를 알려주는 부록과 간지에 의거하여 가능성 있는 필사년을 추출한 다음 기타 정보에서 가능한 필사시기의 범위를 잡아 간지가 가리키는 필사년 중 가장 타당한 필사년을 지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을 통해서 필사본 『擇里誌』(동국대본, 911.51이77ㅌ2)는 1796년에, 『東國八域志』(연세대본, 고서 III 4294)는 1792년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했다. 연세대 소장 『稗林』에 들어 있는 『擇里志』의 전반부는 1751년이나 1752년에 필사되어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이른 시기에 필사된 『택리지』 필사본의 내용인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first, select useful bibliographic data, and second, use this data to identify the copy dates of the T’aengniji manuscripts copied during the first 60 year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book by Yi Chung-hwan(1690-1756) in 1751. This exercise is based on a selected analysis of the ninety-two T’aengniji manuscripts stored in libraries in Korea and abroad.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early versions of the Taengniji manuscripts I have examined several bibliographic sources. These include any copy dates provided by the libraries, the record of the copy years noted inside the manuscripts, the variations in the title of the book, the records identifying the copier of the manuscript and the appendices.
    The copy dates currently provided by the libraries mainly identify those manuscripts that were copied in later years. Because T’aengniji was hand copied over nearly two centuries and the copy dates in the manuscripts are expressed in a sexagenary cycle, the indication of the copy dates in the manuscripts must be cross checked with other bibliographic information. I have found that the bibliographic sources that are directly useful in identifying the early manuscripts of T’aengniji are the names or pseudonyms of the copiers, their explanation of the coverage of the manuscript’s contents, the contents of the appendices and the record of the year according to the sexagenary cycle.
    Through a cross examination of the above selected bibliographic criteria, I have been able to identify T’aengniji(擇里誌, Dongguk University) and Tongguk p’aryŏkchi (東國八域志, Yonsei University) as early T’aengniji manuscripts. The content of the first half of T’aengniji(擇里志) in P’aerim(稗林, Yonsei University) can also be regarded as that of an early T’aengniji manuscrip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