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탑돌이의 역사와 현황 (A History and Status of Circumambulating a Pagoda in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4.06
36P 미리보기
한국 탑돌이의 역사와 현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21권 / 195 ~ 230페이지
    · 저자명 : 한상길

    초록

    우리나라는 불교의 수용과 함께 탑을 조성하여 온 나라에 불국토의 장엄을 이룩하였다. 신라에는 “절과 절이 별처럼 들어서고, 탑과 탑이 기러기가 줄지어 나는 듯”하였다. 고려시대에는 풍수지리사상과 비보설에 따라 절은 물론이고 산꼭대기, 동네 어귀 할 것 없이 많은 탑이 들어섰다. 탑 자체가 부처님이었고, 불교였다. 불상의 조성과 함께 신앙의 중심이 옮겨갔으나 탑은 여전히 귀의대상이었고, 가람을 이루는 필수 요소였다.
    탑신앙의 대표적인 의례가 탑돌이이다. 탑돌이는 특별한 의례 절차나 의식구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합장하거나 등을 들고, 때로는 발원문을 독송하며 탑을 도는 행위만으로 소원을 이룰 수 있다는 어렵지 않은 의례이다. 현실의 고통과 어려움을 극복하는 대중적인 기원신앙으로 성행할 수 있었던 배경이다. 특히 신분제 사회에서 탑돌이는 빈천한 이들이 쉽게 행할 수 있는 기도였고, 의지처였다. 그런데 남아 있는 탑돌이 사례는 매우 적다. 불교가 민족의 종교로 정착하고, 민속화하면서 탑돌이는 특별한 의례이기보다는 일상의례로 귀결되었기 때문이라 보인다. 최근 들어 다양한 불교문화와 의례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지만 탑돌이가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원인이기도 하다. 이에 본고는 고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불교사의 전개과정에 나타나는 탑돌이의 성격과 특징을 고찰하여 탑돌이 문화의 복원과 재현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탑돌이는 주로 개인이나 소수가 아닌 집단적, 공동체적 의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대중적 성격을 지니게 된다. 고려시대 많은 사람이 운집한 각종 법회와 도량에서 탑돌이가 성행한 사실은 이를 잘 말해준다. 조선시대 원각사의 탑돌이도 연등회의 일환으로 진행되면서 많은 대중이 참여한 축제의 한마당이었다. 이러한 공동체적 성격이 바로 우리나라 탑돌이의 중요한 특성이다. 조선시대 이후 등장하는 여러 탑돌이 노래 역시 이러한 성격을 반영한다. 노래는 혼자가 아니라 대중이 함께 하는 것이므로 공동체 의식과 일체감을 고조시킨다.
    현대 들어 법주사를 시작으로 월정사, 중원탑, 해인사, 만복사, 원각사지, 통도사, 불국사 등에서 탑돌이가 진행된다. 그런데 이들 탑돌이는 모두 축제의 일환으로 진행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부처님 오신날을 기념하거나 지역 축제의 한 프로그램이다. 탑돌이가 지닌 공동체적 성격이 축제라는 의미와 잘 부합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역사적인 원형성이나 불교의례로서의 신성성이 결여되기도 하지만, 이 역시 우리 문화의 현재를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문화의 원형을 중시해야 하지만, 문화는 고정불변하지 않는다. 대중의 생각과 행위가 다수의 공감을 받으며 보편화될 때, 비로소 문화가 된다. 전통에 기반을 둔 탑돌이의 변화와 창조적 계승을 기대한다.

    영어초록

    Walking in a circle around a tap(pagoda) while meditating, chanting, prostrating and/or performing gido(ritual supplication prayer), usually while performing hapjang(hand-gesture of palms together over the heart), as a devotional practice. In Korea tapdoli(탑돌이) is generally done in the clockwise direction. Such circumambulation, a common practice in many religions, may be performed as part of a formal ceremony or as a private practice by one or more members of that temple’s seungga(sangha), by monks, laity or visitors. To overcome the pain and difficulty of the real popular thriving faith could origin in the background.
    Traditional society, the low-class status in society Tapdoli was easily doable people were praying and hopes. However, very few remaining examples. Because Buddhism was established as the religion of the nation and becomed folk, it was daily ritual rather than a special ritual. In recent years, research on a variety of Buddhist culture and rituals are being tried, but did not receive any attention tapdoli cause a little as well. Therefore, in this study,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 appear in the process of the Korea Buddhist history of tapdoli to examine the culture of it become a help to restore and reproduceWhen Sakyamuni Buddha was alive, his followers paid him the greatest respect by walking around him while keeping him on their right(clockwise) three times. The Samguk Yusa(三國遺事) states that tapdoli was already a strong folk-religious tradition in the Silla Kingdom(57 BCE-668 CE), especially performed from the 8th to 15th day of the Second Moon by the Lunar Calendar and on Butcheo-nim Osin-nal(Birthday of Sakyamuni Buddha), now a national holiday. This ancient custom has continued for the rest of history, and is still widely practiced today; Beopju-sa, Woljeong-sa, Haein-sa, Tongdo-sa, regarded as a primary reverential and transformational behavi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