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혁주의생명신학에서 바라본 안셀무스(Anselmus)의 『프로슬로기온』 2-4장에 나타난 탈-존재론적 논증: 하나의 논증의 관점이 아닌 신앙의 확신의 관점에서 (The Post-Ontological Argument of Anselmus’ Proslogion 2-4 from a Point of View of Reformed Life Theology: not from the Point of View of an Argument bu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onviction of Fait)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1.04
30P 미리보기
개혁주의생명신학에서 바라본 안셀무스(Anselmus)의 『프로슬로기온』 2-4장에 나타난 탈-존재론적 논증: 하나의 논증의 관점이 아닌 신앙의 확신의 관점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생명과말씀 / 29권 / 1호 / 77 ~ 106페이지
    · 저자명 : 김완종

    초록

    본 논문에서 필자는 안셀무스의 『프로슬로기온』 2-4장의 내용을 중심으로 그가 자신의 신앙을 고백한 내용을 다룬다. 『프로슬로기온』 2-4장의 내용은 감각 경험을 통해 얻어지는 지식에 근거 해서가 아니라 경험세계와는 무관한 신 자체의 속성을 가지고 하나님의 존재 특히 그리스도교의 하나님을 증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존재론적 논증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필자는 그의 논증을 철학적 사변의 논증을 통해 자연인에게 하나님의 존재를 증명한다거나 그의논증이 타당한 것인지, 성공한 것인지, 신학적 작품인지 철학적 작품인지에 대한 관점에서 다루지 않을 것이다. 또한 『프로슬로기온』 2-4장과 관련한 다양한 해석과 견해도 다루지 않을 것이다. 필자는 베크의 수도원장이었이며 캔터베리의 주교였던 한 신앙인이 생명이시며 진리이신 하나님을 향한 전인적 욕구를『프로슬로기온』 전체장에서 철저하게 고백하고 있다는 신앙의 지평에서 그의 논증을 탈-존재론적 논증이라 명명한다. 안셀무스가 언급한 신 존재증명이 연역논증이나 귀납논증과 같은 ‘하나의 논증’일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존재론적 논증이 논증이라고 할지라도 필자는 이러한 논증이 논증의 형식을 사용하여 결국 한 신앙인이 하나님께 기도하고 명상하며 신앙 혹은 신학적 확신을 말하는 과정의 한 고백에 포함된 것임을 모색할 것이다. 이를 위해 1)하나님께서 그에게 보여주신 것을 찾고 알기 위해 기도하고 명상하며 깨닫게 된 생명이신 하나님이 지성과 실재에 모두 존재 하신다는 고백의 내용을 분석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2)그런 다음 그가 규정한 하나님에 대한 개념의 정의가 증명의 방식이 아닌 탈-존재론적 논증이며 1)의 논증을 통해 그가 성취했다고 믿는 것이 무엇인지를 모색해 볼 것이다. 더 나아가 『프로슬로기온』의 목적과 구조에 대해 해석자들의 다양한 견해가 있고 이것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비판과 해석이 있지만,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 즉 하나님을 향한 전인적(지,정,의) 욕구 중에 특히 지의 욕구가 안셀무스의 『프로슬로기온』에서 생명이시며 진리이신 하나님을 고백하는 방식을 통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고찰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deals with the contents of his confession of his faith, focusing on the contents of Anselmus' Proslogion 2-4. The content of Proslogion 2-4 is an ontological argument in that it proves the existence of God, especially the Christian God, not based on knowledge obtained through sensory experience, but with the attribute of God itself, which is irrelevant to the experiential world. However, I will not deal with his arguments in terms of whether he proves the existence of God to natural persons through arguments of philosophical speculation, whether his arguments are valid, successful, theological or philosophical. Also, I will not deal with various interpretations and views related to Proslogion 2-4. I will call Anselmus' argument as a Post-Ontological Argument in the horizon of faith that Anselmus, who was the head of Beck and bishop of Canterbury, thoroughly confesses his whole human desire for God, the life and truth, in the entire chapter of Proslogion. In my opinion, the proof of the existence of God mentioned by Anselmus may be a argument such as a deduction argument or an induction argument, but the result of this argument is one of the process of a believer praying and meditating to God and expressing faith or theological conviction.In my opinion, the proof of the existence of God mentioned by Anselmus may be a "an argument" such as a deduction argument or an inductive argument. However, even if his ontological arguments are arguments, I will seek that these arguments are, in the end, included in a confession in the process of a believer praying to God, meditating and speaking of faith or theological convictions. To this end, I will analyze 1) the contents of the confession that God, who is the life realized by praying and meditating to find and know what God has shown to him, exists in both intellect and reality. 2) Then I will try to find out what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God that he defined is a Post-Ontological Argument, not a method of proof, and what he believed he has achieved through 1). Furthermore, we will examine how the faith that seeks understanding, that is, the whole desire for God, is revealed in Anselmus' Proslogion through the way of confessing God who is the life and tru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