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완서의 『미망』에 나타난 (탈)근대공간의 건축술 : 젠더지리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개성(開城)의 탄생 (The Architecture of (post) modern space in Park Wan-seo’s “Mi-mang(未忘)” : The birth of Gae-sung(開城)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geography)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8.12
41P 미리보기
박완서의 『미망』에 나타난 (탈)근대공간의 건축술 : 젠더지리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개성(開城)의 탄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45호 / 259 ~ 299페이지
    · 저자명 : 권영빈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박완서의 『미망』에 나타난 근대 개성의 로컬리티를 젠더지리학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의 작품세계를 새롭게 규명하는 데 있다. 그간 『미망』은 역사‧가족사 소설이라는 장르적 특질로 인해 박완서 소설 연구의 자장에서 자주 배제되어 왔다. 그러나 이 작품은 박완서가 집‧가정에서 벌어지는 여성‧가족 이야기를 통해 지속적으로 제시해왔던 근대성 비판이라는 테마와 단절되어 있지 않으며, 오히려 구한말과 식민지 조선이라는 전환기적 시‧공간을 전면화함으로써 그러한 주제의식을 더욱 잘 드러내 보이고 있다.
    우리 문학이나 역사에서 개성의 로컬리티는 근대 상업자본주의의 발달과 ‘민족자본’의 거점이라는 경제‧정치사적 대항성을 내포한다. 이러한 점은 『미망』에도 충실히 재현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것은 개성의 로컬리티가 구축되는 기저에 젠더 이슈가 개입되어 있다는 점이다. 『미망』에서 가족사‧연대기라는 형식적 특질이 갖는 의미는 세대 간 계승되는 가족/젠더질서를 효과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에 있으며, 이러한 ‘유산(heritage)’의 이행 과정에 인물들의 스케일 교란과 경계넘기가 긴요한 계기로 작동한다.
    ‘전처만’은 전근대적 인물이지만 오랜 시간 자신의 ‘위치성’을 생존전략 삼아 그것을 내면화한 존재로서 근대성의 핵심을 누구보다도 빠르게 감각하는 인물이다. 그는 서구적 친밀성과 근대적 섹슈얼리티의 세계의 근간이 되는 새로운 젠더질서를 담지하고, 봉건 체제에 대한 균열의 상징성을 지닌 ‘돈궤’를 후대인 ‘태임’에게 계승한다.
    ‘태임’이 ‘전처만’으로부터 물려받은 ‘돈궤’는 그의 모(母)인 ‘머릿방 아씨’의 실절(失節)과 죽음, 그리고 그 씨앗인 ‘태남’이 집약되어 있는 것이다. ‘전처만’은 ‘태임’에게 돈궤와 함께 그의 이부(異父) 동생 ‘태남’을 위탁한다. ‘돈궤’의 상징성은 기존의 규범적 가족질서에 들어갈 수 없는 젠더적 사안을 의미한다. ‘태임’은 전환기적 시‧공간에서 잠시 가시화되는 다양한 균열의 지점들이 착종된, 그러나 근대적 생존전략인 그것을 유산으로 물려받는다.
    ‘태임’은 기존 개성‧개성상인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았던 존재들을 새롭게 자본화하는 한편, 혈연의 연대를 넘어 가족의 구조를 변화시키는 공동체를 지향하는 것으로 가문을 재편하고자 한다. 이러한 ‘가족-자본’의 새로운 연결에서 중요한 동력으로 활용되는 것이 젠더 협상과 분업으로, ‘태임’으로부터 다시 그려지는 개성의 로컬리티는 전환기적 시‧공간의 체질에 맞게 그 자신을 탈바꿈하는 과정에서 젠더역학을 버팀목 삼게 된다.
    결론적으로 『미망』의 개성은 가족 스케일의 질서가 변용되는 과정과 긴밀히 연결되어 작동하는 공간이다. 본 연구는 『미망』을 통해 그간 개성이라는 장소 정체성을 논할 때 아직 문제시된 바 없는 가족/젠더질서의 의미를 기입함으로써, 오늘날 개성이 지닌 탈근대공간으로서의 다른 가능성을 환기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cality of modern 開城 in Park Wan-seo’s “未忘” from the point of view of gender geography and to identify newly the world of her works. Since then, “未忘” has been regarded as exceptional in the field of research of Park Wan-seo’s novel due to the genre characteristic, history & family history novel. However, this work is also connected with the theme of criticism of modernity that Park Wan-seo has presented taking home and family as background. In particular, this work emphasizes the consciousness of such themes by presenting on the front of transitional time and space, namely, the end of the dynasty and the colonial Joseon(朝鮮).
    In our literature and history, the locality of 開城 represents the development of modern commercial capitalism and the economical & political-historical opposition character as the base of ‘national capital’. This point is faithfully reproduced in “未忘”. However, the focus of this study is that gender issues are involved in the basis of the establishment of locality of 開城.
    The meaning of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未忘” as ‘family history & chronology’ is that it effectively exposes the family/gender order inheri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is ‘heritage’, the scale disturbance and border crossing of the characters act as a critical moment.
    Although ‘Jeon, Cheo-Man’ is a pre-modern person, he have been using his location as a survival strategy for a long time and have internalized it, and he quickly senses the core of modernity. It is a new gender order that is the foundation of western intimacy and modern sexuality. ‘Jeon, Cheo-Man’ carries on with it and succeeds it to the latter, ‘Tae-Im’.
    The money box that ‘Tae-Im’ inherited from ‘Jeon, Cheo-Man’ condensed devirgination and death of ‘a small back room lady’(the mother of Ta-Im), and its seed ‘Tae-Nam’. ‘Jeon, Cheo-Man’ entrusts ‘Tae-Nam’, his uterine brother to ‘Tae-Im’ along with the money box. The money box symbolizes a gendered issue that cannot fit into the existing normative family order. ‘Tae-Im’ inherited it as a means of modern survival strategies.
    ‘Tae-Im’ re-capitalizes the being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categories of existing 開城 and 開城 merchants. And she tries to reorganize the family by aiming for a community that changes the structure of the family beyond the age of kin. Gender negotiations and division of labor are important drivers for this new connection of family-capital. The locality of Gaesung, which is drawn from ‘Tae-Im’ again, is based on gender issues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itself according to transitional time and space.
    In conclusion, the 開城 of “未忘” is a space that works closely with the process of changing the order of the family scale. This study described the meaning of family/gender order that was not revealed when discussing place identity of 開城, and through this, we tried to call out another possibility as a postmodern space of today’s 開城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