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학의 위상 변화와 문학 연구의 (탈)영토화- 최근 풍속-문화론적 연구의 한 경향에 대한 이의 (The Topological Change of Literature and (De)territorization of Literary Stud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3.02
33P 미리보기
문학의 위상 변화와 문학 연구의 (탈)영토화- 최근 풍속-문화론적 연구의 한 경향에 대한 이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37권 / 87 ~ 119페이지
    · 저자명 : 오태영

    초록

    2000년대 이후 ‘근대문학의 종언’에 대한 위기의 감각이 가져온 결과 중 하나는 문학에 대한 기존의 근대주의적 관념을 문제 삼고 문학을 탈신비화하는 새로운 학문적 관점의 대두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2000년대 초반 이래 ‘풍속-문화론적 연구’가 활황을 띠고 있다. 이 글에서는 2000년대 이후 풍속-문화론적 연구와 문학 연구가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은 경성에 관한 대표적인 연구 성과들을 검토하는 것을 통해 이 두 연구의 ‘차이’를 명확히 하는 동시에 경성의 공간과 장소 연구에 있어서 문학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풍속-문화론적 연구가 모더니티의 공간으로서 경성을 시각화하여 소비하는 동시에 경성이라는 공간을 획일화·균질화하고 있는 반면, 문학 연구는 식민지도시로서의 경성 장소화의 불가능성을 포착하면서 그곳의 내적 차이화·분절화 양상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경성에 관한 연구에서 문학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은 문학의 언어가 경성에 대한 공간 인식과 경계 감각을 어떻게 획일화·고정화하지 않고 있는지, 아니 그러한 획일화·고정화에 어떻게 저항하고, 그것들을 무력화시키고 있는지 밝혀야 한다. 식민 지배 권력에 의한 경성의 도시계획과 공간 변용이 ‘식민지도시’로서 경성을 획일화·고정화하고자 한 것이라면, 당대 한국문학이 보여주고 있는 허구의 경성은 그러한 획일화·고정화 방식의 권위주의적 담론을 전복해 경성에 관한 다양하고 이질적인 공간 인식과 경계 감각을 갖게 한다. 따라서 경성에 관한 연구에서 문학 연구의 자리는 문학의 언어에 의해 구성되는 공간 인식과 경계 감각의 전복적 상상력을 포착하는 것, 바로 그 지점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fter the 2000s, one of the results that the sense of crisis in respect of ‘the end of modern literature’ was the rise of a new academic perspective calling existing modern idea toward literature into question and demystifying literature. In such stream, ‘custom-cultural studies’ show activity since the early 2000s. Through the consideration on the representative results of studies on Keijo(京城) where both custom-cultural and literary studies targeted as an object of study after 2000s,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tudies as well as find a new possibility of literary studies on space and place of Keijo. There is a difference that custom-cultural studies unify·homogenize the space of Keijo as well as consumes by visualizing it as a modern space, whereas literary studies are paying attention to the aspects of internal difference·segmentalization of the space seizing impossibility of space-forming of Keijo as a colonized city. Thus, a new possibility of literary studies in the studies on Keijo must reveal whether or not the language of literature standardizes·immobilizes spatial cognition and the sense of boundary toward Keijo, and if not, how the language resists against such uniformity·immobilization and emasculates them. While Keijo’s city planning and alteration of space by the colonial power were to unify·immobilize Keijo, fictitious Keijo that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is showing enables us to have various and different spatial cognition and the sense of boundary about Keijo by subverting such uniformity·immobilization-typed discussion. Accordingly, in studies on Keijo, the position of literary studies must be found in the spot where subversive imagination toward spatial cognition and the sense of boundary that are formed by the language of literature is cau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