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노숙인 지원주택 거주자의 환경적 성향 유형화 연구 - 서울 H하우스 사례를 중심으로 - (Environmental Disposition Types of Homeless Supportive Housing Residents - Focused on H House Cases in Seoul -)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0.08
9P 미리보기
탈노숙인 지원주택 거주자의 환경적 성향 유형화 연구 - 서울 H하우스 사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31권 / 4호 / 47 ~ 55페이지
    · 저자명 : 박재현, 이연숙

    초록

    우리나라는 1990년대 산업사회의 발전과 경제위기로 인해 노숙인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탈노숙인 지원주택은 특수한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해서 일반주택보다 포용력 있게 계획되어야 하는데, 노숙인을 배려한 주택계획 사례가 전무하고, 이들에 대한 정보가 결여되어 있으므로 이후 지원주택의 발전과 효용성을 위해서 거주자에 대한 지식을 축적할 필요가 있다. 지원주택 계획은 주택이 지닌 치유효과를 향상시켜야 할 것이기 때문에 디자인 기반이 되는 환경행태 연구가 성숙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탈노숙인 지원주택 거주자의 환경적 성향을 유형화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행연구에서 분석된 점유(비움형/채움형), 질서(정리형/혼잡형), 상호작용(교류형/은둔형), 허용(개방형/폐쇄형)에 대한 특성이 복합되어 나타나는 환경적 성향의 유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문가를 통한 비관여적 관찰(Unobtrusive Observation) 방법을 활용하였는데 현장 전문가를 연구팀으로 이입하여 조사하였다. 전문가 경험에 근거하는 관찰기록은 현장의 실증자료로 2019년 1월 탈노숙인 지원주택 거주자 전수에 해당하는 47건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본 연구에서 거주자의 환경적 성향 측정을 위해 의미 미분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s)을 활용하였는데, 7단계 척도 예를 들어 ‘점유’성향의 경우 ‘많이 채움–채움-약간 채움–중립–약간 비움–비움-많이 비움’과 같이 척도를 7단계로 나누어 채움형/비움형 성향의 상대적인 정도를 측정하였음.
    를 활용하여 성향을 분별(Differentiate)하였다. 연구자는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는 과정에서 전문가와 수차례 반복 확인하여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원주택 수요자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통해 미래 주택계획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연구결과 대표적 환경적 성향 유형의 빈도는 비움/정리/은둔/폐쇄(7), 채움/혼잡/은둔/폐쇄(6), 채움/혼잡/교류/폐쇄(6), 채움/정리/교류/개방(5), 비움/정리/교류/개방(5), 채움/정리/은둔/개방(4), 비움/정리/은둔/개방(3), 채움/혼잡/교류/개방(3), 비움/정리/교류/보통(3), 비움/혼잡/교류/폐쇄(2), 비움/혼잡/은둔/폐쇄(2), 비움/혼잡/교류/개방(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최근 노숙인과 같은 취약계층에 대한 조명으로 지원주택이 공급되고 있는데, 이러한 사회취약계층은 산업사회에서 간과되어 왔던 집단이다. 이들이 지역사회의 주거환경에서 보다 잘 적응하기 위해서 앞으로의 주거지원 정책은 공공자원이 투자되기 때문에 좀 더 효과가 증진되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탈노숙인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환경적 성향을 지원주택을 계획할 때 배경지식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취약계층 주택의 맥락을 이해하게 하는데 이정표를 마련하는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취약계층을 지원하여 사회안전망을 강화하는 것은 인권존중 및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다.

    영어초록

    Homelessness has increased due to radical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crisis in Korea. Recently, supportive housing has begun to be distributed along with social welfare policies. Supportive housing for the homeless, often use existing rental houses, and it is necessary to be planned customer-oriented. Supportive housing should be more inclusive than general housing, which needs to accumulate knowledge about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ype in the environmental disposition of homeless supportive housing resident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dentifies the composite types of the environmental disposition analyzed in the previous study: territoriality (occupation/order) privacy (interaction/permission). For this study, field experts were transferred to the research team for unobtrusive observation. 47 data were collected in January 2019, equivalent to the total residents of “H house.” The data include quantitative part on the degree of the environmental disposition and qualitative part on expert’s observations. SPSS gave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method, resulting in a total of 12 environmental disposition types. The proportion of the types are Empty/Tidy/Alone/Closed, Filled/Messy/Alone/Closed, Filled/Tidy/Interact/Open, Empty/Tidy/Interact/ Open, Filled/Messy/Interact/Closed,Empty/Tidy/Alone/Open, Filled/Messy/Interact/Open, Filled/Messy/Interact/Closed, Empty/Tidy/Interact/Medium, Empty/Messy/ Interact/Closed, Empty/Messy/Alone/Closed, Empty/Messy/Interact/Open. Environmental disposition types of residents varied with heterogeneity. Supportive housing should be planned to promote the healing and adaptation according to residents’characteristics and to enable efficient maintenanc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housing planning by understanding of the custom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