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천 청단놀음의 재현과 문화재 지정 과정 -마당 순서와 명칭, 탈, 소품, 대사를 중심으로- (The Reproduction of Yecheon Cheongdan Noreum and the Process of its Designation as a Cultural Heritage -Focusing on the order of its Madang, titles, masks, props, and line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3.04
36P 미리보기
예천 청단놀음의 재현과 문화재 지정 과정 -마당 순서와 명칭, 탈, 소품, 대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77호 / 399 ~ 434페이지
    · 저자명 : 이재완

    초록

    이 연구는 2017년 경상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예천 청단놀음의 기원과 유래를 찾고 1981년 재현 이후 현재까지의 변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예천 청단놀음의 재현 이후 전승 양상을 시기별로 구분해 본다면, ① 1981년 조사연구를 통한 청단놀음의 재현, ② 1987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출연단의 공연, ③ 2002년 한국민속예술축제 출연단의 공연, ④ 2004년 학술 연구 용역 완료와 의상 복원 후 문화재 지정 신청, ⑤ 2013년 학술세미나와 문화재 지정 신청, ⑥ 청단놀음의 지정 이후의 6단계 과정으로 나눌 수 있었다.
    1981년 청단놀음의 재현은 1936년 마지막 공연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여러 노인의 풍부한 제보를 통해 이루어졌다. 학계에서는 청단놀음이 한국에서 독특한 유형의 탈놀이로 주목하였으나, 1981년 재현에서 조사되지 않았던 2마당이 추가되고, 탈에 대한 원형 문제 등의 이유로 역사성이 부재하거나 변형된 탈놀이로 간주하였다. 이후 청단놀음보존회에서는 1936년에 연행된 내용을 추가로 조사․연구하여 1981년 재현한 탈놀이를 보완하였고, 때로는 학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하였다. 이는 최종심급(最終審級)을 주관하는 문화재위원회의 기준과 요구사항을 꾸준히 반영하려는 노력이었다. 그 결과 청단놀음보존회는 2017년에 이르러 문화재 지정에 성공할 수 있었다.
    연구 과정에서는 1938년 『동아일보』에서 청단놀음이 소개된 기사와 1981년 강원희 자필 일기를 새롭게 발견하여 지금까지의 논의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청단놀음은 예천의 정월 세시풍속으로 전승되던 탈놀이였다는 기존 논의를 구체화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는 청단놀음의 기원, 유래, 설화를 새롭게 소개하였으며, 예천경찰서 낙성식이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 다른 1936년 11월 15일 거행된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그리고 청단놀음 지정 과정에서 드러난 문화재위원회 운영의 개선점으로 행정당국에서는 문화재위원회 위원들을 대상으로 문화재 지정제도에 관한 기초교육을 실시하여 이에 대한 판단과 의사결정이 더욱 신중하게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고, 심사 종목에 대한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반드시 참여하도록 지침으로 규정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제도 개선의 이유는 문화재위원회의 성급한 결정으로 특정 종목의 무형문화재가 지정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곧 무형문화재의 전승을 지원하는 방안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has found the origin and history of Yecheon Cheongdan Noreum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Gyeongsangbuk-do in 2017 and examined the process of its change from its reproduction in 1981 up until now. The reproduction of Yecheon Cheongdan Noreum and the process of its designation as a cultural property can be divided into six stages: ① Reproduction in 1981 grounded on research, ② Its appearance at the National Folk Art Contest in 1987, ③ Its appearance at the Korea Folk Art Festival in 2002, ④ The completion of academic research services on Cheongdan Noreum and restoration of its costume in 2004, ⑤ Academic seminars and the process of applying for the designation of it as a cultural property in 2013, and ⑥ After the designation of Cheongdan Noreum as a cultural property.
    The reproduction of Cheongdan Noreum in 1981 was realized through plenty of reports from several elderly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last performance in 1936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however, it was considered as a modified mask play in the academic world because two Madang not investigated were added. After that, the Cheongdan Noreum Preservation Society studied and investigated the mask play performed in 1936 additionally to apply it to the mask play reproduced in 1981, and it was modified at times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scholars. However, the Cheongdan Noreum Preservation Society’s efforts to designate it as a cultural property that continued until the mid-1990’s failed repeatedly. In 2003, Yecheon-gun carried out academic research services, costume production with historical evidence, and academic seminars and then prepared and submitted an application for the designation of it as a cultural property collecting the contents discussed in the process mentioned above. As a result, Yecheon Cheongdan Noreum came to be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Gyeongsangbuk-do in 2017 and could be included on the Manki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in 2022. Yet, as of now, in March, 2023, a number of previous members have left the Cheongdan Noreum Preservation Association, and new members are more than existing member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transmit it or train them in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research process, this author newly discovered the article of Dong-A Ilbo introducing Cheongdan Noreum in 1938 and the journal written by Kang Won-hee in 1981 and then compared them with the discussions so far.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concretize the existing discussion that Cheongdan Noreum was a mask play that had been passed down in Yecheon as the custom of the New Year. In addition, this article introduces the origin, history, and tales of Cheongdan Noreum newly and has revealed the fact that the Yecheon Police Station’s Nakseongsik was held on November 15th, 1936 differently from what has been known so f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