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시설 후 지역에 거주하는 자립장애인을 위한 교회의 지원 방안 (A Study on Support Plans of Church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dependently in the Community Post-Deinstitutionalizatio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4.08
22P 미리보기
탈시설 후 지역에 거주하는 자립장애인을 위한 교회의 지원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 수록지 정보 :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 6권 / 2호 / 1 ~ 22페이지
    · 저자명 : 이은미

    초록

    이 연구는 탈시설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을 하는데 있어 어떠한 전달체계와 공공, 민간 자원이있는지 탐색하고, 이들의 안정적 주거와 생활을 위해 어떠한 서비스가 필요한지 알아본다. 더불어 탈시설 후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자립장애인들이 더 안정적으로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역의 가장 주요한자원이면서 본질적으로 선교적 사명을 가지고 있는 교회가 이들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이며, 어떠한방향과 목적을 가지고 이들 장애인들을 도울 수 있는지 그 방법을 찾아보려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탈시설의 의미가 무엇인지, 현재 우리나라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탈시설 정책 및 현황은 어떠한지 탐색하였다. 또한 탈시설과 지역거주 자립생활이 장애인에게 어떤 유익을 주는지 실증적 근거를 기반으로 살펴보았고, 탈시설을 지원하는 초기부터 정착까지의 단계를 실제 사례를 들어 살펴보았다.
    탈시설하여 자립생활을 하는 장애인들이 경험하는 문제와 어려움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한 교회의 역할은 먼저 공동체성을 회복하여 장애인들을 교회 공동체의일원으로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려는 인식개선과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고, 장애인이 찾아오기를 기다리지말고 먼저 찾아가는 교회가 되어야 하며, 장애인을 수동적으로 도움만 받는 존재가 아닌 자기결정과 선택이가능하고 그러한 권리를 가진 주체적 존재로 인식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적리더십을가진 교회 공동체가 장애인의 신체적, 정신적 약함을 뛰어넘어 영적인 힘을 불어넣고 이끌어줄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면 탈시설 후 지역에 거주하는 장애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vailable delivery systems and public and private resourcesthat facilitate independent liv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alongwith identifying necessary services for their stable housing and living. The primaryobjective is to explore how churches, as significant community resources with amissionary mission, can support the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fterdeinstitutionalization. It also aims to determine the direction and purpose of churchinvolvement in enhancing the stability and quality of life for these individuals.
    The research delves into the concept of deinstitutionalization and examines currentpolicies and statuses at bo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levels in Korea. It presentsempirical evidence on the benefits of deinstitutionalization and independent living forpeople with disabilities, detailing the stages from initial support to eventual settlementthrough real-life examples. Furthermore, the study addresses the challenges and issuesfac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dependently post-deinstitutionaliz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mprovingawareness and actively accept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s integral members of thechurch community. It advocates for churches to proactively engage with people withdisabilities, recognizing them as individuals with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choice, rather than passive recipients of aid. Finally, the study highlights that churchcommunities, through their spiritual leadership, can play a crucial role in inspiring andfostering spiritual strength, thereby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the quality of life of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the community after deinstitution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