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호우 시조의 세계인식과 탈정치의 정치성 (The realization of the world in the Sijo of Lee Howoo and the politics of the de-politicizati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9.10
25P 미리보기
이호우 시조의 세계인식과 탈정치의 정치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64호 / 457 ~ 481페이지
    · 저자명 : 노춘기

    초록

    이호우의 시조는 전통적 규범과 현대적 리얼리티의 갈등을 종합하여 새로운 시형식뿐만 아니라 그에 부합하는 가열한 시정신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은 그 시정신의 요체가 정치성과 탈정치성을 통합하는 그 견인정신에 있다고 보고 그 실체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1950년대와 1960년대를 비교하여 살피되, 이호우의 작품 세계에 일관되는 한 흐름으로써 정치적 정체성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이호우의 현실 인식은 해방 직후부터 강하게 드러나며, 특히 1950년대 이호우의 작품에는 동족상잔의 비극이나 독재에 항거하는 비판의 정신이 매우 강하게 드러나고 있었다. 필화를 초래했던 「바람벌」에서는 국토가 분단된 시대에 ‘온전한 조국’의 꿈을 지키는 자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내포되어 있었다. 1960년대에도 그의 역사와 현실에 대한 열렬한 관심은 그 강렬도를 잃지 않았다. 월남전에 참전한지 사흘만에 전사한 병사의 목숨이 3달러에 매도되고 있음을 비판한 「삼불야(三弗也)」등의 작품들이 오히려 비판적 정신의 범위를 확대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그 언어적 형식이나 진술의 방식이라는 변화는 있었으나, 해방 직후부터 1960년대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비판적인 현실인식을 시적으로 형상화하는 데에 적극적이었음이 확인되었다.
    이호우의 중기 이후 대표작인 「개화」는 언제나 현실에 대한 민감한 긴장을 포기하지 않았던 이호우라는 시적 정신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기(旗)빨」과 같은 현실비판적 작품의 시적 맥락을 원용하여 읽을 수 있다. 요컨대 「개화」에서 묘사된 새로운 세계를 향한 간절한 기다림은 이 무렵 그토록 뜨거웠던 정치적 신념과 이상의 상징적 형상화로 해석될 필요가 있다. 즉 정치적 신념을 배제시킨 것이 아니라 그 정신을 가장 순도 높은 형태로 벼린 형상을 통하여 오히려 더 강렬하게 제시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그간 비정치적 혹은 탈정치적 텍스트로 파악되었던 이호우의 「개화」 계열의 작품들을 정치철학이나 역사철학이 첨예하게 상징화한 텍스트로 바라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호우의 시의식과 언어가 결합하는 방식을 더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Lee Ho-woo was a poet responsible for the succession and innovation of modern times via his sharp intuition. Through the intensity of real-life awareness, he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status and realm of modern Sijo. At the same time, he was a practical intellectual who harshly criticized the contradictions of postwar Korean society.
    Lee Ho-woo's work refused to converge on the traditional aesthetics limited to natural descriptions and universal sentiments and showed that he could deliver the most modern message through the most traditional forms.
    In particular, it is worth nothing that Lee Ho-woo took a step forward in the realm of modern Sijo through his unique strong sense of reality and fundamental questions. Combining the conflicts of traditional norms and modern reality, he presented not only a new style of poetry but also an enthusiastic self-correcting spirit to match.
    I considered his aesthetic feature to be in the spirit of unity between politics and decency and sought to explain its substance. Through this, I wanted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that would allow us to understand Lee Ho-woo's work in a consistent way beyond change and divi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