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산 정약용의 탈성리학적 실학의 대성 (The great achievement of Jeong yakyong's Silhak as post-neoconfucian concepts)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2.05
47P 미리보기
다산 정약용의 탈성리학적 실학의 대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자학회
    · 수록지 정보 : 孔子學 / 22호 / 5 ~ 51페이지
    · 저자명 : 윤사순

    초록

    이 글의 요지를 서술하기에 앞서 필자가 밝혀야 할 점이 있다. 그것은 이 글이 필자의 새 연구 논문이 아니라, 우리 학계 학자들의 다산 정약용 사상에 대한 연구 업적들을 ‘주제’의 시각으로 정리한 글이라는 점이다. 몇 주 전에 필자는 한국공자학회로부터 금년이 다산 정약용 탄생 250주년이 되는 해임을 기념하는 의도에서 다산 사상에 관한 논문의 기고를 청탁받은 바 있다. 새로 연구논문을 작성할 여유가 없던 필자는 본인의 추후 저서에 사용할 목적으로 다산사상을 정리한 이 글이 있어, 이로써 그 청탁에 대신하는 수밖에 없음을 알리고, 이것을 송고하면서 게재 여부는 편집진의 결정에 맡겼다. 채택 결정의 통고(通告)를 받은 지금 요약문을 적으면, 그 내용은 대체로 아래와 같다.
    첫째, 다산 정약용의 간략한 생애와 저술 등을 기록했다. 둘째, 그의 사상의 실마리를 찾기 위해 그의 학문관으로서, 특히 훈고와 의리 추구를 아우르는 경학설을 소개했다. 셋째, 수기안인(修己安人)으로 요약되는 공자학(孔子學)의 표방과 그 자신의 진유지학(眞儒之學)의 표방 사실을 기록하였다. 넷째, 성리학의 기본개념과 명제에 대한 그의 부정 및 그의 탈성리학적 우주관․인간관․윤리관 등을 다루었다. 다섯째, 그의 경세사상으로서 『목민심서』에 담긴 관리들이 지녀야 할 애민과 위민의식 고취를 약술했다. 여섯째, 그의 경세사상 중 『경세유표』에 보이는 토지개혁설의 핵심을 기재했다. 마지막으로, 그의 「탕론」 등에서 발견되는 참정(參政) 사유에 함유된 민권(民權) 의식을 바탕으로 한 근대지향의 초보적 민주정치 사상을 서술했다. 이상 일곱 가지 측면에서 보면, 정약용의 사상은 ‘탈성리학적 실학의 대성’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Jeong yakyong experienced the diversity of thoughts and political situations from the late 18th to the early 19th centuries. While he was exiled, he made the close study on confucian classics as well as wrote voluminous works, reaching almost to about 500 books, such as Gyeongseyupyo(『經世遺表』), Mokminsimseo(『牧民心書』), and so on.
    This paper consists of seven parts. At first, the examination about his writings was performed. Secondly, this researched for his academic view and made clear that classical confucian studies, called Kyonghak(經學), could involve the pursuit of moral values and the exegetical studies on classics. Therefore, Kyonghak is the clue of his academic view because he regarded as the effective way of studying confucianism. Thridly, this indicates that the self-cultivation and comfortable lives with others is one of the great issues in Confucianism. Forthly, Jeong yakyong’s view of the world, human being and morality was closely dealt as the antitheses of Neo-confucianism based on the supporting position with post-neoconfucian thoughts. Fifthly, this part showed his concern about loving people and its spirit for people. Sixthly, his ideas relating to land reform was described under his critical viewpoints toward the real world. Seventhly, this explained that his thoughts on the basis of people’s rights and participation to politics present the early ideas of the democratic society aiming at the modernization. As considered above, the thoughts of Jeong yakyong can be appreciated as the person highly achieving the studies of Silhak, pratical learning, regarding as the anti-academic trend, post-neoconfuci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孔子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