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처용탈 변화요인 고찰 (A Study of Factors in the Transition of the Cheoyong Mas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6.09
31P 미리보기
처용탈 변화요인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무용역사기록학 / 42권 / 119 ~ 149페이지
    · 저자명 : 김용목

    초록

    처용무를 구성하는 요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처용탈이다. 아무리 처용무의 춤사위를 구사하고 처용의상을 입고 춤을 추어도 처용탈을 쓰지 않으면 처용무라 할 수 없다.
    『악학궤범』 권9 처용관복도설에는 처용의 형상과 처용복식이 치수까지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처용탈과 복식을 제작 할 때 전범으로 삼고 제작에 임해왔다. 그러나 연구한 바에 따르면 처용무는 조선 개국(1394년)부터 1442년 나례 때(세종 24년)까지 48년간 女妓들이 추었고, 세종 25년(1443년)부터 연산 10년(1504년)까지 61년간은 남자 재인들이 춘 것이 확인된다. 그리고 1504년부터 다시 여자들이 처용무를 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1504년을 기점으로 처용탈은 큰 변화를 겪게 된다. 『악학궤범』이 만들어진지 불과 11년 뒤이다. 처용무가 가장 많이 기록되어있는 실록은 燕山君日記인데, 연산의 처용무에 대한 지나친 관심이 처용탈의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조선후기의 처용탈은 모두 얼굴이 길고, 특히 평양감사환영도의 부벽루연회도 속 처용탈은 수염이 없다. 평양의 기녀들이 추었기 때문이다. 그 외 전해지는 도병과 계첩의 처용탈은 한결같이 턱이 길게 강조되어 있다. 다시 말해 조선 후기의 처용탈들은 『악학궤범』을 典範으로 삼지 않았고, 지속적으로 변화 발전되어 왔음을 확인 할 수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의 처용탈은 조선시대 처용탈의 전승계보를 이탈 한 것으로 드러난다. 이왕직아악부의 함화진, 김영제, 이수경은 실제 처용무를 춘 적이 없으며, 복식과 처용탈 또한 남아있지 않아 새로 제작 했고, 제작할 사람이 없어 일본 사람이 와서 처용탈을 제작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처용탈들은 조선 후기에 일관되게 이어져 오던 처용탈의 특징인 얼굴이 길고 턱이 유난히 긴 헌종대 무신진찬도병 처용탈의 맥을 잇지 못했다. 조선후기에 변화 발전해 오던 처용탈이 다시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에 의해 1493년의 『악학궤범』 처용형상으로 되돌아 간 것은 현재 우리가 직면해 있는 원형과 전형의 논란에 하나의 사례로 회자 될 만하다.
    우리나라는 역사나 민속뿐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일제강점기를 극복하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일제강점기 동안 단절되고 왜곡된 우리문화의 제자리를 찾는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처용무의 처용탈도 『악학궤범』의 처용탈과 함께 조선 후기 처용탈의 해학적인 모습도 수용해 처용무 표현의 지평을 넓혀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the Cheoyongmu is the mask of Cheoyong. Even if all of the costumes are present, the performance is not considered Cheoyongmu without the mask. In the ninth volume of ancient record Akhak gwebeom, in the section titled “CheoyongGwanbokDoSeol,” the making of the mask is recorded in detail., as well as the costumes and accessories used in the Cheoyongmu. From 1394 to 1442 (Sejong ’24), Cheoyongmu actors were women; however, men performed the Cheoyongmu for 61 years, from 1443 (Sejong ’25) to 1504 (Yeonsan ’10). After that time, the Cheyongmu was performed by women again. As of 1504, the Cheoyong mask underwent a drastic development. The time-frame of this change was 11 years after the Akhakgwebeom was written. Under the Yeonsan kingdom, Cheoyongmu was recorded in greater detail, mainly because of the king’s great interest in the performance. The significant changes made to the Cheoyong mask also occurred because the performance attracted the king’s attention. One example of the change of the design can be found in the mask’s beard; in the description in “Pubyok pavilion banquet,” the Cheoyong mask has no beard, which is extraordinary because this became one of its most distinctive features. Another example is the protruding jaw of the mask. In the books of “Dobyoeng” and “Gyecheop,” the jaw part of the mask was significantly emphasized. All of these features contradict those mentioned in the Akhakgwebeom.
    The design of the Cheoyong mask was not concluded in the time of writing the Akhakgwebeom; instead, it underwent significant and constant change over tim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era, the mask design deviated from the original design used in the Chosun dynasty. The office of the “Aakubu” is known to have performed the Cheoyongmu; however, the mask and costumes were not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version of the performance. This is considered to be a separate artwork rather than the Cheoyongmu. There is also a record showing that some Japanese people made Cheoyong masks in that era. Throughout the late Chosun dynasty, the design of the Cheoyong mask was distinct to what is believed to be the original. However, the exceptionally long jaw of the mask, as described in “Heon-jong-dae mu-sin-jin-chan-do-byung,” is no longer reproduced. Regarding the changes of the mask in this era, it the true original design of the Cheoyong mask remains controversial. This represents another cultural disturbance stemming from the enforced occupancy by Japan. In this regard, the study of the Cheoyong mask represents the recovery of the distorted tradition of our country. From studying the Akhakgwebeom, as well as other historical records, we are finding out about a variety of original designs of the Cheoyong mask, including a humorous version from the Chosun dynasty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용역사기록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