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로스쿨 학생들이 바라보는 바람직한 법사회학 강의의 구조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에 의한 도출- (The Preferred Structure of the Class of Sociology of Law among Law School Students -Using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1.04
31P 미리보기
로스쿨 학생들이 바라보는 바람직한 법사회학 강의의 구조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에 의한 도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사학연구 / 43호 / 101 ~ 131페이지
    · 저자명 : 이상수

    초록

    본고는 로스쿨제도 하에서 법사회학 강의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라는 문제의식의 연장에서, 로스쿨 학생들이 바라보는 바람직한 법사회학 강의의 구조가 무엇인지를 파악해보려는 시도이다. 교육이 반드시 학생들의 요구에만 입각해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그것을 도외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는 로스쿨에서 법사회학 강의를 설계하려는 교수들에게 일정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본다.
    본고에서 채택한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질적 연구이다. 즉, 학생들이 법사회학과 관련하여 가진 체험에 관한 조사결과를 일차적인 자료로 하여 이로부터 학생들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법사회학 강의의 구조를 도출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도출된 결론은 다시 학생들에게 회람하여 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학생들 사이에는 법사회학 강의의 지향점, 교육방법 등에서 바람직한 법사회학 강의에 관한 일관되고 단일한 구조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학생들은 토론을 통해서 한국사회의 법현상에 관한 비판적 이해를 제고하는 것이야 말로 바람직한 법사회학 강의의 핵심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로스쿨 학생들이 직업적 관심에 매몰되어 실용적 지식만 추구할 뿐 추상적․비판적 법 이해에는 그다지 관심이 없을 것이라는 여러 예측과는 큰 괴리를 보인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섣불리 일반화하기는 힘들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사회학 강의를 설계하고 개선하는 데에 상당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With in mind the current issues on the right ways to teach sociology of law(SL) in law school, this article tries to show the structure of SL class which is preferred by law school students.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provide the SL professors with some implications in deciding what and how to teach in SL classes, though admitting that not every SL class should succumb to the students’ needs.
    The methodology adopted in the research is so-called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which pursues the structure of phenomenon by grounding on and transcending from the obviousness of the life-world. I began my research with collecting raw materials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with 14 law school students, and then from the materials I drew out meanings, sorted them into the theme categories and finally made an exhaustiv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structure of SL class. The exhaustive description was sent back to all the participants(interviewees) so that they could comment on and verify the contents.
    This article finds that there exists a common structure of SL class which is preferred by law school students, especially in terms of the objective and the method of SL classes.
    According to the research, students want to reach a theoretical or critical understanding of law through discussions among themselves in SL class, rather than to enhance technical knowledges or law-related practical skills. They want the professor of SL to remain as a facilitator of the discussion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somewhat surprising because most professors, including myself, expected that law school students are so concerned about passing bar examination and future jobs as not to be interested in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law and society.
    While it may be difficult to presume that all the law school students agree with the findings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still it should be recognised as a matter of fact that there exists a common understanding on the recommendable structure of SL class among many law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should not simply be ignored in organizing lectures on SL, which means that a lot of changes in current syllabuses of SL in law school are inevita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