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체성을 비이원론적으로 체현/사유하기: 이브 코소프스키 세즈윅의 성 정체성과 자격 논쟁을 중심으로 (Embodying/Thinking about Identity in Non-dualistic Ways: Centered on Eve Kosofsky Sedgwick's Gender/Sexual Identities and Eligibility Debates)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5.04
44P 미리보기
정체성을 비이원론적으로 체현/사유하기: 이브 코소프스키 세즈윅의 성 정체성과 자격 논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133권 / 151 ~ 194페이지
    · 저자명 : 전혜은

    초록

    이 글은 퀴어 이론가 이브 코소프스키 세즈윅(Eve Kosofsky Sedgwick)의 성 정체성을 둘러싼 의심과 자격 논란을 분석한다. 먼저 세즈윅의 커밍아웃을 무시하고 왜곡하는 주장들을 검토하면서, 섹스-젠더-섹슈얼리티가 개개인의 체현 감각과 정체성을 구성하는 다양한 경로와 방식 중 특정한 일부만 진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믿음과 그 전제들을 분석한다. 그다음 세즈윅이 자신의 ‘퀴어한’ 정체성을 인식하고 설명한 방식이 어떻게 섹스-젠더-섹슈얼리티에 대한 규범적 인식틀을 교란하고 정체성의 진정성을 보증한다고 믿어지는 요소와 규칙들을 어떻게 토대부터 뒤흔드는지를 탐구한다. 나아가 세즈윅에게 적합하고 남들에게도 인정받을 이름을 찾아주는 대신, 세즈윅이 성 정체성의 진정성을 판별하는 데 쏠린 힘들을 어떤 다른 생산적인 방향으로 돌리는지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세즈윅의 개인 서사와 이론 작업으로부터, 엄격한 범주와 배타적인 정체성 정치의 문법에 기대지 않고 퀴어 정체성을 설명할 기초적인 이론적 자원을 추출한다. 그로써 기존의 이분법적 범주에 맞지 않아 자격을 의심받는 퀴어한 존재들을 위한 보충 설명에서 더 나아가 동일시 이론 자체를 비이원론적으로 재편할 단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현재에도 남성/여성, 동성애자/이성애자, 유성애/무성애 이분법의 경계에 놓인 퀴어들이 자신을 설명하고 이해받는 데 어려움을 겪는 현실을 고려할 때, 이 논의는 정체성의 인정에 작동하는 규범과 정상성을 해체하고 차이를 설명할 대안적 언어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경계적 주체들에게 살 만한 삶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nalyzes the doubts and eligibility debates surrounding queer theorist Eve Kosofsky Sedgwick's gender identity and sexual identity. It begins by examining the arguments that ignore and distort Sedgwick's coming out, and analyzes the premises in these arguments underlying the belief that only some of the many ways in which sex, gender and sexuality constitute each individual’s sense of embodiment and identity can be authentic. It then explores the way Sedgwick perceived and articulated their “queer” identity disrupts those normative frameworks of sex-gender-sexuality and shakes the foundation of the elements and rules that are believed to guarantee the authenticity of identity. Instead of finding a name for Sedgwick that works for them and that others will recognize, this article examines how Sedgwick redirects the energies that are focused on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their gender and sexual identities in other, more productive directions. Finally, it extracts foundational theoretical resources from Sedgwick's personal narratives and theoretical works to account for queer identities without resorting to rigid categories and the exclusive grammar of identity politics. In doing so, I hope to provide not only a supplemental account for queer people whose eligibility is questioned because they do not fit into the established dichotomous categories, but also to lay the groundwork for a non-dualistic reconfiguration of identification theory itself. Given that queer people on the border between the male/female, homosexual/heterosexual, and sexual/asexual binaries still struggle to explain themselves and be understood, this discussion can help to create livable lives for a range of liminal subjects, by deconstructing the norms and normativities that operate in the recognition of identity and providing an alternative language to describe differ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