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키에르케고어의 철학사상에 있어 “동시성”의 신학적 의의와 그 적용성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and Relevance of "Simultaneity" in Kierkegaard's Philosophical Though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0.05
32P 미리보기
키에르케고어의 철학사상에 있어 “동시성”의 신학적 의의와 그 적용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사회 / 34권 / 2호 / 1 ~ 32페이지
    · 저자명 : 장호광

    초록

    오늘날 한국교회의 상황을 객관적 시각으로 들여다보면, 교회가 교회로서 역할과 사명을 다하지 못함으로 인해 세상 사람들로부터 손가락질을 받는 비판의 대상을 넘어 혐오의 대상으로까지 전락해 버리고 말았다. 과거 한때, 한국교회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의 변혁을 위해 “앞섬이” 역할을 감당했다면, 지금은 사회가 교회를 변혁시키려는 “뒤섬이”로 밀려났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쓰여진 본고의 목적은 제목에서 잘 드러나 있듯이 키에르케고어의 철학사상, 그 중에서도 그의 종교적 용어인 “동시성”에 담겨 있는 신학적 의미와 중요성을 드러내어 오늘의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에게 적용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1장 “서론”에서 키에르케고어가 동시성의 용어를 사용한 이유, 근거 및 목적을 소개한다. 2장 “동시성의 다양한 신학적 의미”에서는 네 가지 관점으로 나누어 이 속에 담겨 있는 다양한 의미를 소개해 보았다. 첫째, “객관적 불확실성으로서 동시성”으로 신과 신의 계시는 인간의 객관적 지식과 대립한 것으로서 인간 개개인이 처한 자신의 고유한 실존적 상황에서의 신앙적 결단을 통해서만 접할 수 있다는 사실이 소개된다. 둘째, “절대적 역설로서 신앙적 동시성”으로 신이 인간으로서 우리 가운데 계신다는 사실 자체가 절대적 역설이라는 점과 인간의 ‘오성’의 견해를 거절하며 오직 신앙의 결단을 요구한다는 점을 드러내었다. 셋째, “그리스도의 제자 됨의 동시성”으로 그리스도의 제자는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통을 함께 지고 가는 자를 말하며, 절대적 모험을 감행하는 특정한 행위를 통해 자신을 유지하려는 인간적 의지와 노력에 달려 있음을 소개해 보았다. 넷째, “계시 획득의 모험으로서 동시성”의 제목으로, 실존적 모험을 통해 그리스도인은 계시를 자신의 실존에서 획득하며 계시가 반복되는 자신의 ‘실존하는 것’에서 구체적으로 전개된다는 점을 소개해 보았다. 마지막 3장인 “결론”은 오늘의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에게 적용을 위한 제언형식으로, 키에르케고어 당시의 교회에 대한 그의 비판과 대안제시가 오늘에도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상기시킴으로써 마무리 지었다.

    영어초록

    Looking into the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today from an objective perspective, the church failed to fulfill the role and mission of light and salt as a church, and it became a target of disgust beyond the object of criticism from the world. In the past, if you once played a “leading” role to transform not only the Korean church, but also Korean society, now the society is trying to transform the church.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ritten in this context, is to implicitly apply Kierkegaard's philosophical thought, especially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contained in his religious term “simultaneity,” to today's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To do thi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reason, basis, and purpose of Kierkegaard's terminology of simultaneity in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Diverse Theological Meaning of simultaneity” was divided into four perspectives to introduce the various meanings contained in it.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fact that God and God's revelation as “simultaneity as objective uncertainty” is in conflict with human objective knowledge, and is accessible only through the determination of faith in the unique existential situation of each human being. Second, "simultaneity of faith as absolute paradox" revealed that the fact that God is among us as human beings is an absolute paradox, and rejects the view of man's "understanding" and demands only a determination of faith. Third, as “the simultaneity of Christ's discipleship,” Christ's disciples are those who carry the crucifixion of Christ together, and introduced that they depend on human will and effort to sustain themselves through certain actions of absolute adventure. Fourth, with the title of “simultaneity as the adventure of gaining revelation,” Christians introduced that through the existential adventure, revelation acquires revelation from their existence. The last three chapters, “Conclusion,” concluded by reminding us that his criticism of the Church at the time of Kierkegaard is still valid today as a form of application for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