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화를 통한 상징화의 발달과 치료적 변형에 대한 사례 연구: 클라인, 시걸, 위니컷의 이론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Symbolization and Therapeutic Transformation through a Fairy Tale: Focusing on the Theories of Klein, Segal, and Winnicott)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4.08
43P 미리보기
동화를 통한 상징화의 발달과 치료적 변형에 대한 사례 연구: 클라인, 시걸, 위니컷의 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정신분석 / 26권 / 2호 / 163 ~ 205페이지
    · 저자명 : 한미향

    초록

    본 연구는 한 급성정신증 치료사례에서 상징화의 발달과정과 그 과정에서 동화의 기여를 구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상징화는 무의식적 환상 및 내부 대상관계와 연관되어 있는 과정으로 불안을 변형하여 다룰 수 있게 해주며 경험을 통합하게 한다. 잠재적 공간은 내적세계이면서 동시에 외부세계인 과도기적 경험이 발생하는 중간영역이며, 그 속에서 중간대상이 출현되며 진정한 상징은 아니지만 모성대상과의 분리의 갈등과 불안을 처리하는 상징적 수단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고찰과 임상사례 분석을 통해서 상징화의 발달을 밝힌다. 첫째, 상징은 치료장면에서 형성된 잠재적 공간에서 발달하며, 구체적이고 사물로 등가되는 상징적 동등시에서 추상화되고 정교화된 상징화로 발달한다. 최종적으로 상징화는 그 의미를 의식화하고 언어화하는 것으로 발달한다. 둘째, 잠재적 공간에서 치료자와 내담자의 협력하에 공동-변형되는 동화라는 확장된 중간대상의 출현은 상징화의 발달에 기여한다. 이후 상징화는 점차 다른 상징물, 꿈, 전이 등을 통해서 더욱 활발히 나타나게 된다. 셋째, 상징화의 발달은 내담자의 치료적 변형에 기여한다. 즉, 편집-분열적 경험에서 우울적 경험으로 이동하거나 우울적 자리를 훈습을 하도록 도움으로써 주체가 확립되고 개인내적 및 대인관계에서의 변화로 이어진다. 본 고찰을 통해 클라인과 시걸, 위니컷의 정신분석 이론에서 상징화의 발달과정을 검토하고 확장된 중간대상인 동화와 그 이야기적 변형이 상징화에 기여하는 점을 논증하고, 이러한 상징화의 발달이 치료적 변형을 가져오는 것을 임상사례를 통해 입증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는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process of symbolization and contribution of fairy tale, in the treatment of an acute psychosis case. Symbolization is a process deeply connected to unconscious phantasies and internal object- relations. This process helps individuals transform and manage anxiety, integrate the experience, and form subject. The potential space is an intermediate area where intermediate experiences, which are both the internal world and the external world, occur. Within this space, an intermediate object emerges. Although it is not a true symbol, it is used as a symbolic means to process the conflict and anxiety of separation from the maternal object. Through these considerations and the analysis of a clinical case, the development of symbolization and contribution of fairy tale, an extended intermediate object is elucidated. First, the symbol develops in the potential space that is formed in the treatment scene and evolves from symbolic equation, which is concrete and equated to things, into abstracted and elaborated symbolization. Eventually, symbolization develops into consciousness and verbalization of its meaning. Second, in the potential space, the emergence of an expanded transitional object, such as a fairy tale, which co-transformed under the collaboration of the therapist and the clien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symbolization. Afterwards, symbolization gradually appears more actively through other symbols, dreams, and transference, etc. Third, the development of symbolization contributes to the client’s therapeutic transformation. In other words, by helping to move from paranoid-schizoid experiences to depressive experiences or to work through depressive position, the subject is established and leads to changes in the internal world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finds its significance in review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symbolization in the psychoanalytic theories of Klein, Segal, and Winnicott; in demonstrating how the expanded transitional object of a fairy tale and its narrative transformation contribute to symbolization; and in establishing through a clinical case that the development of symbolization leads to therapeutic transfor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정신분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