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치의 글로컬 브랜드화를 위한 디자인 전략방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Design Strategy for the Glocal Brand of Kimchi)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4.03
12P 미리보기
김치의 글로컬 브랜드화를 위한 디자인 전략방향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12권 / 1호 / 169 ~ 180페이지
    · 저자명 : 윤혜진

    초록

    한국의 대표적인 식품인 김치는 상품이기 이전에 한국의 문화이며, 그 문화 속에는 사상과 민족관, 사회관 등이 내포되어 있어 글로컬 브랜드로서의 경제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가 무궁무진하다. 하지만 현재 한국의 김치브랜드 디자인은 김치종주국으로서 일본의 기무치와 값싼 중국김치와 차별화된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발견할 수 없으며, 한국지역의 정체성이나 한국만의 김치브랜드 디자인 전략이 불분명함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공한 글로컬 브랜드 디자인의 전략분석을 통하여, 김치브랜드의 가치와 경쟁력을 극대화 시키고 더 큰 세계시장으로 확대하기 위하여 한국적 정체성을 강화한 글로컬 김치브랜드 디자인의 전략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글로컬라이제이션의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고, 글로컬 브랜드로 성공한 이탈리아의 파스타 브랜드 20개를 선정하여 디자인의 조형요소, 문화유형, 색상 등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의 대표적인 수출용 김치 3개 회사의 디자인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이탈리아의 글로컬 브랜드인 파스타는 ‘식품은 맛’이라는 표현의 한계점을 넘어 지역의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명확히 반영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문화요소를 컨셉으로하여 브랜드 별로 획일화 되지 않은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디자인의 다양성은 각 지역의 소비자들에게 기호와 선택의 폭을 확장시켜 세계시장에서 보편적인 특징을 가질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김치브랜드 디자인은 현재 재료나 맛 위주의 디자인을 벗어나 한국이라는 지역 정체성을 확연히 나타낼 수 있는 차별화된 조형요소를 찾아서 반영해야 하며, 한국의 다양한 유무형의 문화요소들을 활용하여 획일화 되지 않은 다양성을 통하여 한국문화의 가치를 확대 시켜야 한다. 또한 현지의 식문화와 상호교류가 가능한 김치브랜드 디자인 전략을 통해 지역의 전통과 현대문화가 서로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는 보편성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Kimchi is food a typical Korea is a culture of Korea before trademark, ethnic and view of thought, such as the view of society is encapsulate in its cultural, economic and cultural value as a glocal brand value is're inexhaustible. However, it is not possible as kimchi originated., to discover the identity of the design, which is differentiated with cheap Chinese kimchi and kimuchi of Japan and kimchi brand design of only local identity of Korea it can be found that the design strategy is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esign of a successful glocal brand strategy through analysis, kimchi is to maximize the value of the brand as a glocal, of the world market in order to maximize the larger Korean kimchi brand identity, enhancing the strategic direction for the design study.
    As research methods, clearly defined the concept of a sentence glocalizat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glocal successful Italian pasta brand select brand 20 the formative elements of design, culture type, color, brand identity analysis. In addition, three kimchi Korea's leading export company for design analysis to evaluate the probl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asta of glocal brand in Italy beyond the breaking point of the expression ‘taste the food’, to maintain the local identity that has not been standardized in the brand to visualize the concept of elements of the diverse cultures of the region, the diversity of these designs could be made to expand and choice consumers taste in each region have a universal characteristic.
    Based on these analyzes, the kimchi brand design, must be reflected by searching the shaped elements that are differentiated can show clearly the identity of the local of Korea to be out design taste oriented material and the current,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value of Korean culture through diversity by utilizing a culture element tangible and intangible various Korean are not standardiz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further strengthen the universality that can interact with the food culture of the local through the possible kimchi brand design strategy, to exchange culture and modern tradition of the region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랜드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