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계교회협의회(WCC) 에큐메니칼 신학의 전개-역대 총회 주제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the Ecumenical Theolog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the Themes of the WCC Assemblie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4.03
35P 미리보기
세계교회협의회(WCC) 에큐메니칼 신학의 전개-역대 총회 주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독교와 역사 / 40호 / 79 ~ 113페이지
    · 저자명 : 정병준

    초록

    10차 WCC 총회 주제들 안에 나타난 신학을 연구하고 교회일치신학, 선교신학, 사회참여신학과 연관시켜서 살펴보았다.
    WCC 총회의 주제들은 전통적 신론, 기독론, 종말론, 성령론으로 발전하는 삼위일체론의 틀 속에 있었다. 창립총회는 신론을 사용했으나 2차 총회에서 6차 총회에 이르는 동안 기독론을 사용했다. 그러나 4차 웁살라 총회(1968)는 종말론을 통해 혁명적 상황을 표현했다. 1990년대에 들어와 총회는 성령론(제7차 총회)과 삼위일체론(8차-10차 총회)을 사용했는데 그것은 영성과 환경문제, 종교적 다원성, 구원론의 지평확대에 유용했기 때문이다.
    WCC의 교회론은 비교 교회론(1-2차 총회)에서 가시적 교회론으로 발전했다. 4차 웁살라 총회부터 교회일치와 인류일치는 불가분의 관계로 표현된다. 제5차 나이로비의 “협의회적 친교”(conciliar fellowship), 제6차 밴쿠버의 “가시적 성례적 친교”(visible eucharistic fellowship), 제7차 캔버라와 제8차 하라레의 “코이노니아교회론”이 나타났다. WCC는 더 큰 교회공동체를 담을 수 있는 교회론적 구조를 고민하고 있다.
    선교신학은 교회중심적 선교(1차 총회)에서 하나님선교(2차 총회)로 발전했고 제4차 웁살라에서는 하나님선교가 극대화되어 타자를 위한 교회로서 선교개념이 나타났다. 그리고 제5차 나이로비는 사회참여전통과 복음주의전통을 수렴하는 통전적 선교개념이 확정되었다. 1990년에 들어와서 생명신학이 발전하면서 생명충만으로서 선교개념이 발전했다.
    사회참여 신학은 초기의 책임사회(1-2차 총회)에서 1960년대에는 사회정의, 경제정의, 평화 문제와 자연파괴 문제를 보게 된다. 1970년대에는 JPSS개념(제5차 총회)이 나타났고 제6차 밴쿠버(1983)에서 JPIC 개념이 구체화되었다.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과 신자유주의 경제세계화의 영향 때문에 교회는 아가페 과정(AGAPE process)을 대안으로 제시하며(제9차 총회), 생명과 정의와 평화를 하나로 묶어내는 윤리를 발전시켰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heological development of WCC based on the themes of the WCC Assembly meetings. The WCC Assembly themes are very much focused on the traditional frame of theology of Trinity. The Amsterdam Assembly used God in its theme. From the 2nd Evanston (1954) to the 6th Vancouver (1983) the WCC Assembly used Christology. Only exception was the 4th Uppsala (1968) which used eschatology. Since 1991 the theology in the WCC themes has been changed into Pneumatology and Trinity. The 7th Canberra (1991) developed theology of life based on Pneumatology. The 8th Harare (1998), the 9th Porto Alegre (2006), and the 10th Busan (2013) adopted trinity in their themes. Pneumatology and Trinity were very useful to deal with the issues of spirituality, environment, religious diversity that the contemporary faced with.
    The ecclesiology in WCC was developed from theory of comparative unity to that of visible unity. The 3th New Delhi (1961) emphasized an “organic unity.” The 4th Uppsala connected church unity with unity of humankind. The 5th Nairobi (1975) suggested “a conciliar fellowship.” The 6th Vancouver argued a “visible eucharistic fellowship.” And the 7th Canberra and the 8th Harare dealt with Koinonia ecclesiology.
    The missiology in WCC moved from church-centered mission to missio Dei. The 5th Nairobi affirmed WCC missiology as a wholistic mission. Since 1990 theology of life has influenced on the concept of mission as fullness of life.
    The theology of social action in WCC started from the concept of responsible society. During 1960’s WCC struggled for social and economic justice and economic. The 5th Nairobi coined the concept of Just, Peaceful and Sustainable Society (JPSS). Then the 6th Vancouver (1983) developed the concept of Justice, Peace and Integrity of Creation (JPIC).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Neo-liberal economic globalization, the 9th Porto Alegre suggested an “Alternative Globalization addressing People and Earth” (AGA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기독교와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