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맹세와 실행으로 완성되는 詩의 논리:『카비야 알람카라』(Kāvyālaṃkāra) 제5장을 중심으로 (Poetic Logic as Vow and its Accomplishment: in the 5th Chapter of the Kāvyālaṃkāra of Bhāmah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0.08
33P 미리보기
맹세와 실행으로 완성되는 詩의 논리:『카비야 알람카라』(Kāvyālaṃkāra) 제5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59호 / 5 ~ 37페이지
    · 저자명 : 류현정

    초록

    일반적으로 논쟁과 주석 전통이 중심이 되는 인도학 전반에서 논리학은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는 학문이다. 인식론, 존재론, 우주론에서 해탈론에 이르기까지 논리학이 미치는 영역은 다양하고 그 영향력 또한 인도지성사에서 큰 몫을 담당한다. 그러나 시학(詩學), 특히 인도 고전 예술시(kāvya)의 작시법(作詩法) 문헌에서 이를 다루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애초에 문학작품에서 성립하는 논리는 논쟁을 위한 논리학과는 그 본령을 달리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은 『카비야 알람카라』(Kāvyālaṃkāra, 이후 KA로 약칭) 제5장의 논의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 바마하(Bhāmaha, 7세기경)는 KA 제5장 전반부의 내용을 논리학의 용어와 개념에 대해 개설하는 데에 할애한다. 이러한 논의에서 말하는 논리(nyāya)의 범주는 좁은 의미의 논리학과는 궤를 달리 하지만, 한편으로는 당대 논리학 전통의 권위가 시학 전통을 위해 재생산되는 과정이기도 하다.
    한편 해당 장의 후반부는 전반부의 논리학 개설과는 다소 다른 흐름으로 진행된다. 바마하가 말하는 시에서의 논리는 진리의 증명이나 타당성과 연관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해당 주장 (또는 명언)이 실질적으로 실현되는 것인지 아닌지에 의해 판가름나는 것이다.
    과연 시의 논리에서 주장이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자 바마하가 말하는 nyāya는 어떠한 의미와 범주를 지니는가? 이를 이해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KA 제5장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시에서 적용되는 소위 ‘논리’라는 것이 어떠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그리고 이와 관련된 시적 허용의 실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general, in the field of Indology, logic takes on an important role as a methodology in the texts dealing with debates among philosophical schools and in commentary traditions. From the areas of epistemology, ontology and cosmology to the theory or practice of liberation, the domain of logic is diverse and it has had a large influence on Indian intellectual history. However, there are very few works on poetics that deal with logical materials. One of the possible reasons is that the logic established in literary works is different from the logic used for debates. This point of view does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discussion of the 5th chapter (pariccheda) of the Bhāmaha’s Kāvyālaṃkāra (KA). Bhāmaha devotes a section of the first half of the 5th chapter to this topic, wherein he gives an introduction to the terminologies and the several concepts pertaining to logic. The intriguing fact, however, is that this discussion is not closely related to the poetics practically. For Bhāmaha, though he points out the difference between śāstra and kāvya, the logic is also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to compose beautiful poems by establishing clearness (prasāda) and by avoiding defects (doṣa) ― especially the ‘absence of proposition, cause and example’ (pratijñā-hetu-dṛṣṭānta-hīna) ― in them.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alf of the chapter proceeds in a slightly different way from the general introduction on logic in the first half. In this part, the word pratijñā in poems has expanded denotation as ‘vow.’ Therefore the logic in the poem that he explains is not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an object in a proposition, or to establish the proof or validity of absolute truth, bu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roposition (or vow) is accomplished or not.
    Then, how could such an elaborate description dealing with the logic in poetry have been given, and for what reason the author devote half of one whole chapter on poetics on the establishment of this logical outlin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in this paper, I examine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5th chapter of KA and try to analyze the so-called ‘logic’ which is applied in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