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죄사함과 의의 전가를 중심으로 한 칼빈의 칭의론과 그 평가 (Calvin's Doctrine of Justification Focusing on Forgiveness and the Imputation of Righteousness, and Its Evaluati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09.11
35P 미리보기
죄사함과 의의 전가를 중심으로 한 칼빈의 칭의론과 그 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성경과 신학 / 52권 / 1 ~ 35페이지
    · 저자명 : 유창형

    초록

    이 논문은 칼빈이 죄사함과 의의 전가의 관계를 어떻게 보았는지를 살핀다.
    히브리서 7장 26-27절과 요한일서 2장 6절에 대한 칼빈의 주석에 근거하여
    클리포드는 칭의가 죄 사함으로서 그리스도의 율법에 대한 수동적 복종의
    전가이며, 능동적 복종은 전가가 아니라 신자의 모범으로 제시된 것이며, 흠
    없는 제사장과 제물이 되기 위한 자격과 전제일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반대
    로 페스코는 칼빈에게 죄사함은 의의 전가의 결과로 말했다. 그러나 『기독
    교 강요』 3권 11장 2절, 2권 12장 3절, 로마서 3장 22절과 31절에 대한 주석
    에서 칼빈이 칭의를 그리스도의 수동적 복종의 전가인 죄 사함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의 능동적 복종의 전가로도 언급했다고 할 수 있으므로 클리포드가
    완전히 옳은 것이 아니고 페스코의 주장은 논리성이 부족하다.
    다소 충격적이게도 벌코프나 바빙크가 그리스도의 능동적 복종의 전가의
    근거로서 제시한 성경구절에 대한 칼빈의 해석은 그들과 연관성이 거의 없
    다. 이에 대해서는 벌코프와 바빙크가 칼빈을 넘어서 개혁주의의 교리를 논
    리적으로 발전시켰다고 볼 수도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칼빈을 너무 지나쳐나가서 성경에 명료하게 나오지 않는 면을 다소 스콜라적인 방식으로 체계
    화했다고도 할 수 있다. 단지 바빙크와 벌코프가 말하는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의 결과로 양자됨을 얻는다는 것은 갈 4장 4-7절에 대한 칼빈의 주석에
    의해 지지될 수 될 수 있다.
    현재 우리의 목회 현장에서 칭의와 관련이 있는 찬송가들은 예수님의 보
    혈을 찬송하는 곡들인 반면에 예수님의 능동적 복종의 의미로서의 의의전가
    를 찬양하는 곡은 없다. 예수님의 복종이 찬양될 때는 우리가 제자로서 그의
    발자취를 따라 갈 것을 격려할 때다. 찬송가 323-360을 보라. 설교할 때 예수
    님이 내 죄를 속했다는 것을 강조하지만 예수님의 능동적인 복종이 나의 복
    종으로 계산되었다는 것은 많이 강조되지 않는 것 같다. 따라서 개혁주의자
    들은 칼빈이 칭의를 죄 사함뿐만 아니라 의의 전가로도 말했다는 것을 기억
    하고 설교하며, 가르치고, 찬송가도 만들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Calvin's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giveness and the imputation of righteousness. Based on
    Calvin's commentary on Heb. 7: 26-27 and 1 Jn. 2:6, Clifford maintains
    that for Calvin, justification is forgiveness as the result of the imputation
    of Christ's passive obedience to the Law, while His active obedience is
    not imputed but suggested as a model for saints, which is the qualification
    and preposition to be the spotless Priest and sacrifice. On the contrary,
    Fesko said that for Calvin, forgiveness is the result of the imputation of
    righteousness. But in his commentary on Rom. 3:21, 31 and Institution
    3.11.2 Calvin referred to justification as forgiveness as well as the
    imputation of Christ's active obedience. Therefore, Clifford is not totally
    correct and Fesko's logic is not perfect. To our surprise, the biblical
    passages Berkhof and Bavinck suggested as the ground of the imputation
    of Christ's active obedience are not congruent with Calvin's commentary
    thereon. In this respect, they seem to have developed a reformed doctrine
    of justification beyond Calvin or to have scholasticized Calvin's view
    rather excessively. Nevertheless, their view that we are adopted as the result
    of Christ's active obedience can be supported by Calvin's commentary on
    Gal. 4:4-7.
    There is no hymn referring to the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while there are numerous hymns referring to Jesus' blood in our hymnal.
    Jesus' obedience is emphasized only in relation to our discipleship. Generally,
    our sermons on justification have stressed Jesus' blood rather than His
    obedience counted as our obedience. Accordingly, considering that Calvin
    referred to justification as the imputation of righteousness as well as
    forgiveness, Calvinists need to preach, teach and compo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경과 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