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봉관의 발전 과정을 통한 고려 왕비 칠휘이봉관(七翬二鳳冠)의 추정 (Estimation of the Goryeo queen’s Chilhuiibonggwan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inese Bonggwa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24.11
32P 미리보기
중국 봉관의 발전 과정을 통한 고려 왕비 칠휘이봉관(七翬二鳳冠)의 추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수록지 정보 : 한국복식 / 52호 / 129 ~ 160페이지
    · 저자명 : 김지원, 이은주

    초록

    본 논문은 『고려사(高麗史)』 「여복지(輿服志)」에 기록된 고려 왕비 칠휘이봉관(七翬二鳳冠)의 형성 과정, 형태, 구성요소를 중국 역대 『정사(正史)』 「여복지」와 「예의지(禮儀志)」, 국가전례서, 법전 등의 문헌과 출토 유물, 회화를 통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당 이전까지는 최고 등급 예복과 함께 가계(假髻)에 꽂는 개별적인 머리 장식이 제도에 나타난다. 진(晉, 266~420) 제도에 처음 나타난 ‘전(䥖, 鈿)’, 북주(北周, 557~581) 제도에 처음 나타난 ‘화수(華樹)’, 수(隋, 581~618) 제도에 처음 나타난 ‘박빈(博鬢)’은 당대(唐代, 618~907)에 이르면 하나의 관에 통합되어 신분별 꿩 무늬 예복인 휘의(褘衣), 요적(褕翟), 적의(翟衣)와 함께 일습을 이룬다. 관은 송대(宋代, 960~1279)부터 ‘용(龍)’, ‘봉(鳳)’, ‘휘(翬)’가 추가되어 명대에 구룡사봉관과 구휘사봉관으로 정착된다. 고려사 「여복지」에 기록된 고려 왕비의 칠휘이봉관은 명 홍무 3년 제도는 물론 영락 3년 제도와도 연결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홍무 3년 편찬된 대명집례의 황후 구룡사봉관 도상과 영락 3년 제도를 그림으로 표현한 명궁관복 의장도의 황태자비 구휘사봉관 도상을 참고하여 1370년 고려 왕비 칠휘이봉관의 구성요소를 휘, 봉, 주취운(珠翠雲), 대화(大花), 소화(小花), 박빈, 취구권(翠口圈)과 전(鈿)으로 추출하고, 각 구성 요소를 개수에 맞추어 배열한 관의 추정도를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processes, shape, components of Chilhuiibonggwan, which was for Goryeo’s queens recorded in Yeobokji of Goryeosa, based on Yeobokji and Yeuiji of Jeongsa, the state’s books on ceremonies, law books along with excavated artifacts and paintings.
    Before the Tang Dynasty, individual hair ornaments worn along with the highest-grade formal dresses in the system. Jeon(鈿) that first appeared in the Jin system, Huasu(華樹) that first appeared in the Northern Zhou system, and Bakbin(博鬢) that first appeared in the Sui system were incorporated into a single crown during the Tang Dynasty and made a set with Huiui(褘衣), Yojeok(揄翟), and Jeogui(翟衣) in different pheasant patterns according to the social ranks. The crown had a Yong(龍), Bong(鳳), and Hui(翬) added to it during the Song Dynasty and settled down as Guryongsabonggwan and Guhuisabonggwan during the Ming Dynast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Chilhuiibonggwan for Goryeo’s queens recorded in Yeobokji of Goryeosa was connected to the formal dress system established in the third year of Hongwu’s reign as well as the third year of Yongle’s reign in the Ming Dynasty. Therefore, referring to the Empress’s Guryongsabonggwan iconography in Daemyeongjiprye compiled in the third year of Hongwu’s reign, and the Crown Princess’s Guhuisabonggwan iconography in Myeonggunggwanbokuijangdo which pictorially depicts the system in the third year of Yongle’s reign, the components of the Chilhuiibonggwan of the Goryeo’s queens in 1370 were extracted as Hui, Bong, Yun(珠翠雲), Daehua(大花), Sohua(小花), Bakbin, decorative band(翠口圈) with Jeon, and an estimated diagram of the Chilhuiibonggwan was presen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