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청화백자를 통해 본 칠보문의 구성과 활용 (Composition and Application of the “Chilbo Pattern” on Blue and White Porcelain of the Late Joseon Period)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22.03
32P 미리보기
조선후기 청화백자를 통해 본 칠보문의 구성과 활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313권 / 313호 / 59 ~ 90페이지
    · 저자명 : 이다란

    초록

    칠보문은 상서롭고 진귀한 가치를 지닌 여러 사물을 소재로 한 복합 문양으로, 조선후기 공예 장식으로 애호되었다. 본 연구는 사료와 유물을 종합하여, 그동안 파악되지 못했던 칠보문의 연원과 구성을 구체적으로 규명하고, 조선후기 왕실부터 민간까지 다양한 계층에서 사용된 청화백자의 사례를 통해 칠보문의 제작양상과 특징을 파악하였다. 칠보문을 구성하는 금정, 은정, 원전 등의 소재는 보문이라고 칭할 수 있으며, 중국 당대 처음 시작되어 송~청대에 걸쳐 점진적으로 발전해왔다. 조선에서는 이러한 보문 소재를 통틀어 특별히 ‘칠보’라는 용어로 칭했다. 칠보문은 조선후기 공예의 여러 장르에서 사용되었는데, 이중 왕실부터 민간에 이르는 폭넓은 계층에서 애호된 청화백자는 칠보문 활용의 다채로운 모습을 보여준다. 유물을 검토한 결과 청화백자의 칠보문은 일상생활 기명 전반에 장식되었으며, 최소 23가지 소재가 칠보문의 종류로 파악되었다. 칠보문은 주문양은 물론 보조문양까지 폭넓게 등장해 활용도가 매우 높은 문양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칠보문이 장식 소재로 애용될 수 있었던 것은 갖가지 보문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다채로운 구성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What is called the “Chilbo” pattern consists of multiple motifs that bear traditional values of auspiciousness, rarity, or preciousness. Although the well-ordered, complex design enjoyed great favor in the production of the Late Joseon decorative arts, little academic attention has been paid so far unfortunately.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extual sources and surviving examples, however, sheds a new light on a body of less-studied scholarly issues including the origin of the Chilbo pattern, its composition, and especially the way in which the pattern was applied to underglaze cobalt blue decorat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Specific motifs such as coins of gold or silver or other metals, which constitutes the Chilbo pattern, we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reasure Motifs,” the concept of which made the first appearance in the Tang dynasty (618~907) and gradual developments from the Song (960~1279) up to the Qing (1644~1912) dynasties. The motifs from China and similar kinds together earned an all-inclusive designation in Korea: Chilbo. Among various decorative media across which the Chilbo pattern was widely employed is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especially remarkable; featuring a diversity of design possibilities, the medium was widely favored in the late Joseon society from the royal court to a private house. A survey of extant porcelain examples reveals that the pattern was used in the whole range of everyday wares; furthermore, it confirms that at least 23 motifs have been included in the Chilbo combination. The pattern’s potential to integrate primary and subsidiary motifs brought about huge applicability. In other words, the Chilbo pattern became popular since the potential diversity of motif combinations allowed the pattern to yield a myriad of compositional vari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