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치권의 남용에 대한 대처—신의칙 적용 유형화와 고려요소 분석, 그 대안으로 채권자취소권 적용 시도— (How to deal with abuse of retention right -Application type of good faith(bona fide), Analysis of consideration factors, Attempt to apply revocation of obligee right-)

7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6.02
71P 미리보기
유치권의 남용에 대한 대처—신의칙 적용 유형화와 고려요소 분석, 그 대안으로 채권자취소권 적용 시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사판례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민사판례연구 / 38호 / 225 ~ 295페이지
    · 저자명 : 송영복

    초록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경매절차에서 유치권의 효력이 제한되는 기준이 되는 유치권 성립 시점은 ‘경매개시결정 기입등기 시’이고, 경매개시결정 기입등기 전에 유치권 성립되었기만 하면 그 이전에 가압류, 체납처분압류, 근저당권이 설정 또는 등기되었다 하여도 유치권의 효력은 제한되지 않는다. 그 결과 경매개시결정 기입등기 전에 성립한 유치권의 효력을 그대로 인정하는 것이 부당한 경우에는 실무상 신의칙 또는 권리남용의 법리로 대처하게 되었다. 따라서 유치권 주장을 어떠한 경우에 신의칙 또는 권리남용으로 제한할 수 있는지를 분석할 필요가 절실하다.
    유치권 행사에 관한 신의칙 위반 주장을 판단한 법원 판결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① 선행 권리자가 존재한다는 사정, 나아가 그 존재 사실을 알았다는 사정만으로는 신의칙 위반 주장을 받아들이기에 부족하다. ② 신의칙 위반 주장이 인용된 사건은 ‘유치권 주장자가 유치권의 요건을 갖추는 방법이 특별히 부당한 경우’이거나 ‘유치권 주장자가 유치권을 행사하지 않겠다는 신뢰를 부여한 경우’로 유형화할 수 있다. ③ 2011다84298 판결 이후에는 하급심을 중심으로 위 판결이 제시한 요건 충족 여부를 따져 신의칙 위반 주장을 판단하려는 경향이 있다.
    대상판결의 판시는 “위 ③ 특징과 같이 2011다84298 판결에 기대어 신의칙 위반 주장을 만연히 받아들이지 말고, 원심이 든 사정만으로는 위 ① 특징의 ‘선행 권리자가 존재한다는 사정, 나아가 그 존재 사실을 알았다는 사정’에 불과하여 신의칙 위반 주장을 인용하기에 부족하므로, 위 ② 특징의 각 유형에 해당할 사정이나 다른 신의칙 위반 사유를 더 구체적으로 심리하라”는 의미이다.
    원심으로서는 유치권의 성립 시기와 방법·경위, 유치권 주장자와 소송에서 대립되는 권리자, 선순위 권리자의 권리 설정 이후 목적물의 가격 상승액과 유치권 피담보채권액의 비교, 신의칙 위반 주장을 받아들였을 경우 유치권자의 보호, 채무자의 채무 상태 등 사정을 심리하여야 하고, 그 결과 위 ② 특징의 각 유형에 해당하거나 그에 준하는 다른 신의칙 위반 유형을 찾을 경우 신의칙 위반 주장을 받아들일 수 있다.
    한편 당사자의 예측가능성 확보나 법관에 대한 명확한 판단기준 제시를 위하여 신의칙이나 권리남용의 법리보다는 채권자취소권으로 부당한 유치권을 통제할 필요가 있고, 적어도 대상판결과 같은 사안에는 현재의 실무와 해석상으로도 채권자취소권을 이용한 유치권 통제가 충분히 가능하리라 본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the precedents of Supreme Court, whether to restrict retention right depends upon the established time of retention right precede registration of decision to commence official auction or not. As a result, in the cases which are seen as unfair to admit the validity of the retention right established prior to the decision to commence official auction, practitioners began to plead for ‘good faith(bona fide)’ which were sometimes accepted by judg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en to restrict retention right using the “good faith(bona fide)” principle.
    Court decisions determined the claims of ‘good faith(bona fide)’ principle in restricting retention right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① Circumstances that existed prior rights(provisional attachment, hypothec, disposition for arrears attachment) holder, and even the retention right claimant already knew the existence of prior rights holder are not enough to accept the alleged violation of ‘good faith(bona fide).’ ② The decisive circumstance we can find in the cases that the alleged violation of ‘good faith(bona fide)’ are accepted classifiable as “establishing way of the retention right is inappropriate particularly” or “retention right claimant has granted the trust that would not exercise the retention right.” ③ Since Supreme Court’s 2011Da84298 decision, lower court judges tend to decide whether to accept the alleged violation of ‘good faith(bona fide)’ as the case meets the requirements 2011Da84298 decision suggested or not.
    Supreme Court’s this decision(2014Da53462) means as follow: Do not accept the alleged violation of ‘good faith(bona fide)’ carelessly after 2011Da84298 standard(above ③ characteristic). Circumstances court below held in adjudicative document are just prior rights holder’s existence or awareness of the prior rights holder’s existence those are not enough to accept the alleged violation of ‘good faith(bona fide)’(above ① characteristic). Court below should proceed hearings to find out whether the case has the decisive circumstances(above ② characteristic) or other equivalents.
    Court below should proceed hearings about circumstances or factors. Those include followings: When and how retention right holder established the right, opponent right holder in the lawsuit, comparison of added value in the object since the establishment of prior right and claim secured by the retention right, protection of the retention right holder in case of accepting the alleged violation of ‘good faith(bona fide)’, debtor’s property and debt condition. After the hearings, court below may accept the alleged violation of ‘good faith(bona fide)’ as long as finds out the decisive circumstances(above ② characteristic) or other equivalents.
    Meanwhile, for predictability of the parties or establishment of standard in judging, using the ‘revocation of obligee right’ principle is more suitable than the violation of ‘good faith(bona fide)’ principle. In the current practice and interpretation, it is necessary and possible to control unlawful retention right claim using the ‘revocation of obligee right’ princi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사판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