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별 청년층 월세 가구의 거주환경 및 주거비 부담 결정요인 분석 (Determina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and Housing Affordability of Young Households in Rental Housing)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22.08
29P 미리보기
지역별 청년층 월세 가구의 거주환경 및 주거비 부담 결정요인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SH공사 도시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주택도시연구 / 12권 / 2호 / 21 ~ 49페이지
    · 저자명 : 이현정, 박상우

    초록

    본 연구는 청년층 월세 가구를 수도권의 서울과 경인, 비수도권의 특ㆍ광역시와 비특ㆍ광역시 4가지 지역으로 구분하여 거주환경과 주거비 부담 실태를 파악하고 그 영향 변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20년도 주거실태조사(KHS)를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 월세 가구의 가구주는 대체로 대졸 이상의 고학력자로 미혼의 남성 임금근로자였으며, 수도권 거주 가구의 교육수준, 근로활동 참여율, 소득, 생활비, 보증금, 임대료, 단독주택과 비주택 거처 비율, 주택연수가 비수도권보다 높았다. 서울의 월세 가구는 다른 지역보다 고학력, 고소득의 미혼 여성 1인 가구가 비교적 많은 편이었고, 보증금, 임대료, 슈바베 지수, 소득대비주거비가 가장 높았으며, 최소 규모의 연수가 가장 오래된 주택에 거주하였다. 경인 지역 가구는 2인 이상의 30대 기혼 가구로, 월 소득과 생활비가 다른 지역들보다 가장 많았으나 소득대비주거비가 가장 낮았다. 특ㆍ광역시에 거주하는 가구는 20대 미혼 1인 가구로 소득과 생활비가 다른 지역들보다 가장 적었으나 자영업자와 비근로활동 비율이 다른 지역들보다 높아 슈바베 지수와 소득대비주거비가 상당히 높은 편이었다. 비특ㆍ광역시의 가구는 고졸 이하의 20대 가구주가 있는 2인 이상 기혼 가구로, 자녀 둘 이상인 가구 비율이 다소 높았으며, 상당수 가구들이 주거비 부담을 겪고 있었다.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는 소수였으나 노후주택과 비주택 거처 비율이 높은 수도권에 집중되었고, 주거지원 서비스는 전체 가구의 1/4 가량이 이용하였고, 현금지원 방식이 흔한 서울 이외 지역은 현물지원 방식에 편중되었다. 또한, 거주환경 평가를 살펴본 결과, 주택 만족도는 비수도권 가구에서 높은 반면 전체적인 주거환경 만족도는 서울 가구에서 현저히 높았고, 이들 거주환경 평가의 공통 영향 요인은 근린환경과 도시 인프라 만족도였으며, 특히 도시 인프라 만족도로 견인된 서울의 전체적인 주거환경 만족도는 다른 지역들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모든 지역에서 주거환경 요소 중 이웃과의 교류, 주차시설, 문화복지가 거주환경의 질을 좌우하였다. 월세 가구의 주거비 부담에서 슈바베 지수와 소득대비주거비 모두 소득이 결정변수였고, 이는 청년층 월세 가구의 주거비 완화를 위해 질 좋은 일자리 확보, 그리고 지역 경제와 가구의 다양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주거지원 방안의 필요성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and housing affordability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in rental housing, and to compare them in four distinct areas – Seoul and Gyeonggi-Incheon (GI) of Seoul Metropolitan Area (SMA), metropolitan area (MA), and non-metropolitan area (NMA) of non-SMA. With 3,120 young households selected from the 2020 Korean Housing Survey (KHS), the cross-sectional study found that most were headed by men age 30s and their householders were highly educated, salaried workers. Generally, housing status was closely associated with household status; many households in Seoul were high-paid singles, well-educated white collar workers, spent more than one-fourth of their income on housing expenses, and were inadequately housed. On the contrary, many in GI were couples with a child, as well as better and more affordably housed. A majority of households in MA as well as NMA struggled to improve housing affordability. Also, the statistical results indicate that residential assessment was largely affected by the adequacy of living environments and urban infrastructures, and housing affordability was strongly linked to income. A number of the young households were dissatisfied with the social network, parking spaces, and cultural enjoyment. Those in Seoul only were more satisfied with residential environments strongly underpinned by urban infrastructures, while higher housing satisfaction was detected in NMA. Thus, it’s implied that various needs of different households are identified across areas and should be addressed in policy agend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주택도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