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창-정선 일대 “행매층”의 분포와 층서적 의의 (Distribution and Stratigraphical Significance of the Haengmae Formation in Pyeongchang and Jeongseon areas, South Korea)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0.08
13P 미리보기
평창-정선 일대 “행매층”의 분포와 층서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수록지 정보 : 자원환경지질 / 53권 / 4호 / 383 ~ 395페이지
    · 저자명 : 김남수, 최성자, 송윤구, 박채원, 최위찬, 이기욱

    초록

    행매층은 실루리아기 회동리층과 오르도비스기 정선층(정선석회암)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행매층의 층서적 위치는회동리층의 존재와 시층서적 논란을 해결하는데 결정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2011년 이후부터 행매층 존재와 함께 암층서 단위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란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룡동-평안리 사이 지역에 대한정밀 지질조사를 통하여 행매층 분포와 지질구조 특성을 규명하고, 생층서와 절대연령 결과를 대비하여 행매층의 암층서 및 시층서적 의의를 정의하였다. 행매층을 대표하는 암석은 괴상의 황색-황갈색 함력 탄산염암으로 사암과 같은입상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노두 표면이 매우 거칠고 기공이 많이 발달하고 있다. 구성광물의 조성, 함량 및 미세조직특징을 근거로 볼 때, 행매층의 특성은 역질의 쇄설암으로, 역은 돌로마이트이며 기질은 자형 및 반자형의 돌로마이트와 원마도 및 분급이 좋은 미사질의 석영이 주구성광물로 이루어져있다. 행매층은 조사지역인 정선군 정선읍 용탄리(비룡동)에서 평창군 미탄면 평안리까지 측방으로 연속하여 잘 발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분포하고 있다. 행매층의 층리, 태위 및 층후는 비룡동-행매동 사이 지역에서는 회동리층과 거의 비슷하게 발달하나, 행매동 남서쪽에서는 등사습곡과 충상단층에 의하여 외견상 불규칙한 분포양상을 보인다. 즉 비룡동-행매동 사이에서는 340°±10°/15°의 태위를 유지하면서 200 m 층후로 발달하지만, 평안리 백암 일대에서는 동-서 1.5 km, 남-북 2.5 km에 달하는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행매층 내 쇄설성 저어콘 U-Pb 연령은 470–450 Ma 범위를 갖고 있어 행매층의 최대 퇴적시기는 후기 오르도비스기를 지시한다. 또한, 행매층을 구성하는 함력 탄산염암은 쇄설성 퇴적암이므로, 행매층에서 분류된 중기 오르도비스기 코노돈트 화석군은 재퇴적된 이지성을 의미한다. 이는 행매층의 지질시대가 중기 오르도스기 이후 임을 지시한다. 본 연구 결과, 행매층은 전단대일 뿐이며, 정선석회암의 일부이고, 정선석회암과 동일한 시기를 갖는다는 부정적 학설은 타당성을 잃었으며, 행매층은 국제층서위원회(ICS)에서 제시한 층서기준에 적합하게 잘 정의된 암층서 단위임이 확인되었다.

    영어초록

    The stratigraphical position of the Haengmae Formation can provide clues towards solving the hot issue on the Silurian formation, also known as Hoedongri Formation. Since the 2010s, there have been several reports denying the Haengmae Formation as a lithostratigraphic unit.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lithostratigraphic and chronostratigraphic significance of the Haengmae Formation. The distribution and structural geometry of the Haengmae Formation were studied through geologic mapping, and the correlation of relative geologic age and the absolute age was performed through conodont biostratigraphy and zircon U-Pb dating respectively. The representative rock of the Haengmae Formation is massive and yellow-yellowish brown pebble-bearing carbonate rocks with a granular texture similar to sandstone. Its surface is rough with a considerable amount of pores. By studying the mineral composition, contents, and microstructure of the rocks, they have been classified as pebblebearing clastic rocks composed of dolomite pebbles and matrix. They chiefly comprise of euhedral or subhedral dolomite, and rounded, well-sorted fine-grained quartz, which are continuously distributed in the study area from Biryong-dong to Pyeongan-ri. Bedding attitude and the thickness of the Haengmae Formation are similar to that of the Hoedongri Formation in the north-eastern area (Biryong-dong to Haengmae-dong). The dip-direction attitudes were maintained 340°/15° from Biryong-dong to Haengmae-dong with a thickness of ca. 200 m. However, around the southwest of the studied area, the attitude is suddenly changed and the stratigraphic sequence is in disorder because of fold and thrust. Consequently, the formation is exposed to a wide low-relief area of 1.5 km × 2.5 km.
    Zircon U-Pb age dating results ranged from 470 to 449 Ma, which indicates that the Haengmae Formation formed during the Upper Ordovician or later. The pebble-bearing carbonate rock consisted of clastic sediments, suggesting that the Middle Ordovician conodonts from the Haengmae Formation must be reworked. Therefore, the above-stated evidence supports that the geologic age of the Haengmae Formation should be Upper Ordovician or later.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Haengmae Formation is neither shear zone, nor an upper part of the Jeongseon Limestone, and is also not the same age as the Jeongseon Limestone.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Haengmae Formation should be considered a unit of lithostratigraphy in accordance with the stratigraphic guide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Stratigraphy (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