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협객에 대한 조선 후기 지배층의 시선 연구 (A Study on Views toward Chivalrous Person of the Ruling Cla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0.05
28P 미리보기
협객에 대한 조선 후기 지배층의 시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75호 / 123 ~ 150페이지
    · 저자명 : 김경회

    초록

    본고에서는 협객에 대한 조선 후기 지배층의 시선들을 고찰하고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먼저 협객의 연원 및 특성을 살펴보고, 협객은 사회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곤란에 처한 백성들을 원조하거나 그들의 문제를 직접 해결하여 백성이 칭송한 인물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협객에 대한 조선 후기 지배층의 시선을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등의 사료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협객이 아닌 자가 협객으로 간주된 사례에서는 협객, 무뢰한, 자객이 행위의 목적이나 방식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공통적으로 사회적 준칙보다 개인의 준칙을 따르고 위법적 행위를 일삼아 공적 질서를 파괴하고 지배층에 저항할 수 있는 반체제적 인물로 간주되어 부정적 인물로 동일시되었음을 논의하였다. 둘째, 협객으로 인정할 수 있는 사례에서는 격식에 얽매이지 않은 자의 경우 상하 및 귀천, 중심과 주변의 위계를 강조하는 유교적 질서를 무너뜨릴 수 있는 언행 때문에 지배층이 부정적으로 평가하였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자신의 재물을 활용하여 백성을 구제한 자의 경우는 백성의 안정을 도모하는 관료의 본보기가 되기에 지배층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음을 고찰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다층적 시선은 유교적 질서를 유지 또는 재생산하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I considered views toward chivalrous person of the ruling cla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nalyzed the meaning of them. Examining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 of chivalrous person on the preferential basis, I confirmed that in the socially confused situation chivalrous person helped people who were in needy circumstances or solved the problems of people, so people eulogized chivalrous person. And then I considered views toward chivalrous person of the ruling cla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on the basis of official documents like 『Joseonwangjoshilok』, 『Seungjeongwonilgi』 and 『Ilseongrok』. First, in the case that persons who were not chivalrous person were regarded as chivalrous person,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chivalrous person, larrikin and assassin in respect of purpose or way of action. However they preferred to follow personal rule to social rule and did illegal acts habitually in common, so they were regarded as the rebellious person who could destroy public order and resist the ruling class, and equated negative characters. Second, in the case of persons who were recognized as chivalrous person, persons who were informal were assessed negatively owing to their words and actions breaking down Confucian order that was concerned with order of rank. Persons who relieved people making use of their wealth were assessed affirmatively because they could be the role model of an administrative officer who pursued stability of people. In conclusion, I confirmed that the multi layered view came from awareness of the ruling class to want to maintain or reproduce Confucian or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