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빈곤층 여성의 자매(自賣) 실태 (Self Sale of Women in Poverty in the Late Jose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4.06
30P 미리보기
조선후기 빈곤층 여성의 자매(自賣) 실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과 역사 / 20호 / 1 ~ 30페이지
    · 저자명 : 정해은

    초록

    이 글은 조선후기 양인 이하 여성들의 자매(自賣) 실태를 분석하여, 빈곤에 직면한 여성들의 생존 방식을 살펴본 연구다. 빈곤은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인류의 탄생과 함께 늘 겪어온 문제이며, 여성만 겪은 문제도 아니다. 빈곤을 젠더와 시대성을 투영해 이해하려고 할 때 겪는 고충이 이런 점들이다. 필자 역시 조선후기 여성의 빈곤을 바라보면서 고민한 문제가 바로 이 점이다. 그럼에도 여성이기에 겪는 또 다른 빈곤의 현실이 존재했다. 이 글에서는 이 점에 주목해 조선후기 급격하게 늘어나는 여성의 자매 실태를 분석하였다. 자매 문서들에서 찾아낸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서 여성들은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자매를 선택하고, 부모나 형제 등 가족에 의해 강제로 팔려갔다. 이 여성들은 자매 이후에 남의 첩(妾)이 되거나, 소유주의 사정에 따라 남의 집에 다시 팔리는 신세가 되었다. 그러면서도 이 여성들은 자신의 삶을 개선하고 더 나은 환경을 찾기 위해 다양한 시도들을 했다. 살아남기 위한 방편으로 거듭해서 도망쳤으며, 남편을 버리고 다른 사람의 첩이 되는 일도 마다하지 않았다. 이 행위들은 결과적으로 조선 사회를 조금씩 균열시키는 요소로 작용했다. 끝으로, 빈곤에 처한 여성들이 자매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성(性)을 사는 곳보다는 노동력을 사는 곳이 더 많았기 때문이다. 이 점은 일제강점기 집밖으로 나온 하층 여성들이 매매춘에 다수 종사하는 상황과 대조적이다. 이런 측면에서 여성의 자매 현상은 조선후기 여성의 처지를 설명하는 중요한 키워드라고 여겨진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Self Sale(Jamae, 自賣) of women below the common people in the late Joseon and explores survival skills of women confronting poverty. Poverty always has been a problem. It has always been there since the genesis of human beings, and it is not a problem that only women experience. These are challenges when trying to understand poverty by projecting the concepts of gender and history. Nevertheless, there is another reality of poverty that women experience merely because they are women. This paper analyzes the Self Sale that drastically increased in the late Joseon as focusing on such point.
    In diverse examples found in chronical materials, law books, and ancient documents, it was found that women chose or were forced by families like parents and brothers to sell themselves to survive. After the Self Sale, these women became others’ concubines or were sold again to other households. Nevertheless, these women made a variety of attempts to improve their lives and to find a better situation. They repeatedly escaped to survive and did not mind leaving their husbands to become others’ concubines. These behaviors slowly made a crack social orders. In conclusion, the reason women in poverty chose the Self Sale was that, most of all, more places required workforce than sex. This makes them different from women in poverty who left home to work in prostitu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this aspect, the Self Sale of women is an essential keyword that states the circumstances of women in the late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