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유성 유공충의 산소·탄소동위원소 이상과 동해 울릉분지에서의 메탄 하이드레이트 해리 증거 (Planktonic foraminiferal oxygen and carbon isotope anomaly and its evidendce for methane hydrate dissociation from the Ulleung Basin of the East Sea)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09.08
12P 미리보기
부유성 유공충의 산소·탄소동위원소 이상과 동해 울릉분지에서의 메탄 하이드레이트 해리 증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질학회
    · 수록지 정보 : 지질학회지 / 45권 / 4호 / 379 ~ 390페이지
    · 저자명 : 남승일, 이현경

    초록

    동해 울릉분지 남부평원에서 시추된 퇴적물 코어(07GHSA-P2, P5)에 산출되는 부유성 유공충인 N. pachyderma (sin.)와 G. bulloides의 산소와 탄소 안정동위원소 이상 값과 메탄 하이드레이트 해리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특히 코어 07GHSA-P2의 마지막 최대 빙하기 퇴적물에서 N. pachyderma (sin.)와 G. bulloides의 탄소동위원소는 각각 -16.1‰과 -14.3‰로 극단적으로 낮은 이상 값을 나타내었다. 동일 깊이에서 두 종의 유공충에 기록된 산소동위원소는 각각 3.1‰과 2.9‰로 비교적 높은 값을 보인다. 이렇게 극단적으로 부유성 유공충의 탄소동위원소의 낮은 값은 동해 마지막 최대빙하기 퇴적층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기록이다. 환경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패각의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이상 값이 나타나는 깊이에 산출되는 대부분의 유공충 패각의 표면은 심하게 용해되었다. 또한 패각내외부에는 규조류 같은 다른 미화석 파편이나 아라고나이트 또는 방해석 결정이 2차적으로 성장한 증거가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동해의 해수면이 가장 낮았던 마지막 최대빙하기의 어느 시기에 퇴적층에 생성되었던 메탄 하이드레이트가 해리되어 퇴적물에 메탄이 공급된 결과 자생탄산염이 유공충 패각에서 2차적으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코어 07GHSA-P2 퇴적물 하부(4.88 m 이하)에서 발견된 메탄 하이드레이트에 의해 뒷받침 되었다.

    영어초록

    In order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able isotope anomaly and methane hydrate dissociation, we investigated stable oxygen and carbon isotopes of the planktonic foraminiferal species N. pachyderma (sin.) and G. bulloides in the sediment cores (07GHSA-P2, P5) recovered from the southern Ulleung Basin, the East Sea. In particular, extremely negative planktonic δ13C excursion down to -16.1‰ (N. pachyderma sin.) and -14.3‰ (G. bulloides) occurred within the Last Glacial Maximum sediment of core 07GHSA-P2. These extremely lightest δ13C values are also accompanied with relatively heavy δ18O values of 3.1‰ and 2.9‰, respectively. The extreme δ13C depletion of both the planktonic foraminiferal species is for the first time found in the East Sea sediment during the LGM.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of the ultrastructure of the inner/outer shell surface using by ESEM, the surface of foraminiferal shells occurred in core depth with the extreme depletion of δ13C values was poorly preserved because of relatively strong calcite dissolution. Furthermore, other microfossil fragments such as diatom were incorporated within the foraminiferal shells together with aragonite and/or calcite crystals which probably reflect the precipitation of secondary overgrowth.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extremely depleted δ13C signatures along with relatively heavy δ18O values might be attributed to authigenic carbonate precipitation when methane was released resulting from methane hydrate dissociation in the sediment during the LGM lowest sea-level. This is strongly supported by the fact that methane hydrate was actually found in the lower part of core depth below 4.88 m of core 07GHSA-P2.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질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