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일본에서 조선문화 유행과 문화주체 분열의 양가성 : 최승희 춤 연구의 문화론적 접근을 위하여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Conducted by the Dalseong Social Meeting during the 1910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1.12
30P 미리보기
근대 일본에서 조선문화 유행과 문화주체 분열의 양가성 : 최승희 춤 연구의 문화론적 접근을 위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45호 / 231 ~ 260페이지
    · 저자명 : 최성실

    초록

    순수한 문화 공동체란 과연 존재하는가. 여기에 근대 서구문명, 문화의 보편주의, 제국주의, 식민주의 문제가 걸려있다. 왜냐하면 이것이 바로 일본 제국이 식민 조선을 통해 동화시키고자 했던 순수한 문화 공동체의 ‘상상’과 왜곡된 상실들의 실체를 분명하게 드러내주기 때문이다.
    최승희가 예술을 통해 실현하고자 했던 욕망은 일본 제국의 보편적인 문화에 쉽게 동화될 수 없는 ‘차이’, 인위적으로 배재하고자 했던 상실된 것들에 대한 복원이었다. 제국의 문화 속에 쉽게 용해될 수 없었던 갈등과 분열 의식은 제국주의 담론을 무화시키는 이질적인 문화배치를 끌어안는 방식으로 작용했다. 소위 말하는 문화적 전이, 헤테로토피아에 대한 열망은 말 그대로 ‘거울처럼 반사되는 경계상의 주체’(specular border subject) 고유한 지배방식에 흠집을 내는 ‘되비추기’라는 반작용을 낳았던 것이다.
    최승희는 조선무용을 통해 서양무용이라는 거울에 되비추어 안정된 가치를 만들고 이를 일본이라는 문화적 타자보다 우위에 놓음으로써 환원불가능한 문화적 패러다임을 형성하고자 했다. 이 욕망은 종교나 언어가 복수로 존재하듯이 민족도 복수로 존재하며, 경험이나 규범, 가치, 관습과 마찬가지로 문화적 원시성(본래)도 보편적인 질서와는 다른 균열과 차이로 뒤얽혀있다는 것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최승희와 그녀의 예술이 보여주고 있는 혼종적인 실체가 일본 대중에게는 열망의 담지체로, 조선인에게는 신념의 대상이자 동시에 배일감정을 갖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서구 대중에게는 오리엔탈리즘의 허상을 구체화 시키는 불온한 상상력으로 다양하게 구체화 되었다.
    결국 일본 제국의 문화적 보편주의(문화적 식민주의)는 근대 일본에서의 최승희 붐을 일으키는 동인으로 작동했으며, 한편으로는 제도화된 이데올로기로부터 일탈을 꿈꾸던 식민지 지식인의 불안에 의해서 흔들리는 양면성을 동시에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러한 식민지 체제 하에서의 비제도적이고 비규범적인 문화적 유동성 속에 최승희 무용의 다층적인 의미가 놓여 있다. 당시 일본인들에게 최승희는 자신이 서열화해 놓았던 식민지 문화 경험을 통해 오히려 본래적인 것을 발견하고, 정체성에 위안을 삼는 ‘새로운 장소’같은 존재였다. 그리고 최승희의 예술은 지금 이곳(일본)에는 없었던 과거이자 새로운 미래로써 일본 대중에게 수용되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Is a pure cultural community real? To answer to this question, modern Western culture, cultural universalism, imperialism and colonialism must be examined because these were the pure imagination and distorted losses of the imperialistic Japan that tried to assimilate Joseon during the imperialistic period.
    Choi's desire that she attempted to realize through art was for a "difference" that helped Koreans and the Korean culture resist from being assimilated to the imperialistic Japanese culture, and for restoration of what Koreans had lost. Resistance and conflicts against Japan served as a catalyst that nullified imperialistic discourses and ideas, and embraced heterogeneous cultures. Desires for the, so called, "cultural metastasis" or "heterotopia" produced reflection that scratched the original ruling style of Japan through the effect of specular border subject.
    Choi established stable values by reflecting Joseon dance on the mirror of western dancing, and put the values above the Japanese culture, thereby forming an irreversible cultural paradigm. Such desire revealed that nations, just as religions and languages, exist in plural, and the originality of culture, just as experience, norms, value and custom, is convoluted by cracks and differences, unlike the universal order.
    The heterogeneous nature of Choi herself and her art became an embodiment of cultural aspiration for Japanese; the faith of Joseon people and, concurrently, the cause of anti-Japan sentiment; and unjustified imagination that specified elusive orientalism for the western people.
    After all, the cultural universalism (or cultural colonialism) of the imperialistic Japan drove the "Choi Seunghui Boom" in the pre-modern Japan. On the other hand, it showed the ambivalence of the intellectuals who dreamt of irreverence under the colonial ruling. Amidst the abnormal and uninstitutional cultural floating of the colonial era, her dancing had multi-leveled meanings.
    Choi ironically discovered the original through the colonial culture that the imperialistic Japanese hierarchized, and became a "new venue" where people found consolation for their identity. At that time, her art was something that Japanese people had never seen before, and embraced as a future for the Japanese publ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