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간과 기계가 공존하는 춤 작품의 양가적(兩價的) 의미 탐색: 인형에서 로봇으로 변천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mbivalent meaning of dance works in which humans and machines coexist: Focusing on the transition from automata to robot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2.11
25P 미리보기
인간과 기계가 공존하는 춤 작품의 양가적(兩價的) 의미 탐색: 인형에서 로봇으로 변천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무용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80권 / 4호 / 43 ~ 67페이지
    · 저자명 : 박서영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ance work in which humans and ma- chines coexist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of creating automata, moving doll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wo-sided meaning of such dance works by paying attention to how dolls and robots, digital sensor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exist with humans as self-moving machines. In this study, I analyzed concrete works by dividing them into three types of co- existence: dolls, robots, and bodies directly combined with machine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nterest in moving dolls was shown to express ‘mixed identity’ through the dancer’s body that reproduces the movements of imaginary dolls in dance. Second, the appearance of actual robots was realized in the direction of pursuing mutual emotional com- munication by resembling human ‘inside’ rather than creating hu- man-like outside in dance. Third, the body directly connected to the ma- chine changes not only the appearance but also the innate ability of the body to have ‘ambivalent emotions’ of fear and curiosity.
    In all three modes of coexistence examined in this study, post-human- ism and human communication methods interact with each other with different faces. In the end, it was found that in the dance work in which humans and machines coexist, both sides were presented in harmony with the post-humanistic elements that give interesting, fun, and un- familiar shock in numerous ways, and the human elements where our daily imagination and emotions meet.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ance work in which humans and ma- chines coexist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of creating automata, moving doll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wo-sided meaning of such dance works by paying attention to how dolls and robots, digital sensor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exist with humans as self-moving machines. In this study, I analyzed concrete works by dividing them into three types of co- existence: dolls, robots, and bodies directly combined with machine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nterest in moving dolls was shown to express ‘mixed identity’ through the dancer’s body that reproduces the movements of imaginary dolls in dance. Second, the appearance of actual robots was realized in the direction of pursuing mutual emotional com- munication by resembling human ‘inside’ rather than creating hu- man-like outside in dance. Third, the body directly connected to the ma- chine changes not only the appearance but also the innate ability of the body to have ‘ambivalent emotions’ of fear and curiosity.
    In all three modes of coexistence examined in this study, post-human- ism and human communication methods interact with each other with different faces. In the end, it was found that in the dance work in which humans and machines coexist, both sides were presented in harmony with the post-humanistic elements that give interesting, fun, and un- familiar shock in numerous ways, and the human elements where our daily imagination and emotions me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무용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