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구조주의 논의를 통해 본 한국 대중춤의 사회문화적 의미 (Poststructuralist approaches on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Korean popular danc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2.02
40P 미리보기
포스트구조주의 논의를 통해 본 한국 대중춤의 사회문화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무용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70권 / 1호 / 183 ~ 222페이지
    · 저자명 : 양은정, 정의숙

    초록

    본 연구는 포스트구조주의(post-structuralism) 대표적인 철학자로 거론되는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철학적 사유와 더불어 춤문화연구를 통해 춤학문의 범위를 넓힌 수잔 리 포스터 (Susan Leigh Foster)의 포스트구조주의 담론을 통해 춤학문과 역사 속에서 간과되었던 한국 대중춤 연구의 방법을 새롭게 마련하고, 그 사회문화적 의미를 다시 쓰고자 하는 일고찰(一考察)이다. ‘대중’이란 말이 더 이상 낯설지 않고, ‘대중춤’에 관한 언급 또한 사회 안에서 자주 이슈화되고 있는 가운데 대중춤 연구의 주목을 통해 춤 연구의 패러다임을 확장시키는 것은 현재의 우리 모습을 춤으로 조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제II장에서는 포스트구조주의의 대표적인 철학자인 질 들뢰즈의 ‘리좀’의 철학적 사유와 춤문화 연구를 통해 춤추는 몸의 영역을 확장한 미국학자 수잔 리 포스터가 제시한 순회학문(Ambulant Scholarship)의 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대중춤의 사유모델 및 연구방법론을 그들의 담론에서 찾고자 했다. 제 III장에서는 사회, 정치, 문화 및 역사와의 연계 속에서 몸의 다양한 담론을 형성한 춤문화연구에 영향을 준 문화연구(Cultural Studies), 대중문화연구(Popular Cultural Studies) 및 대중예술(Popular Arts)과의 연계를 통해 대중춤의 범주, 속성 및 특징을 규명함으로써, 결론적으로 제 IV장에서 한국 대중춤의 유형과 사회문화적 의미를 포스트구조주의의 시각에서 고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중춤 연구의 체계를 잡고 그 지평을 확대하기 위해 문화연구에 기반 한 대중문화 및 대중예술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함으로써 대중춤의 유형, 범주 및 특징을 정립하고, 포스트구조주의의 철학적, 미학적, 사회문화적인 담론들 과의 연계 속에서 한국 대중춤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The steps and patterns of popular dances tend to reflect the values and attitudes of society in the 20th century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orean popular dance which is based on the postsructuralist approahces.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popular dance in conjunction with the philosophical, aesthetic, and sociocultural discourse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Deleuze-Guattarian philosophy of the body and Susan Leigh Foster's 'Ambulant Scholarship" in consideration of the popular dance as a critical inquiry. In Anti-Oedipus,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 analyzed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with body and desire in which explain the individual integrity and internal relation of beings in the society. Susan Leigh Foster examines the dancing body as a primary text such as "writing body" and "written body" which means embodied-cultural practice. Foster pointed out the "Ambulant Scholarship" which means the conception of body as tangible physicality transporting psychological and social values likewise popular dance. Thoses two philosophical discourses enable to expand the range of bodily actions and endeavors that deserve our attention in the cultural practices. Second, this study has proceeded after classifying popular dance into a type of dance that has been most frequently addressed in connection with media and dominant culture. Third, this study attempt to re-write the bodily history in connection with the discourses of the sociocultural contexts and meanings overlooked in history.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at it is necessary (1) to extend the paradigm by establishing the concept and category of ‘popular dance,’ which have been classified as a neglected view on the traditional scholarship in dance, (2)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the Korean popular dance by understanding aspects of changes in and characteristics of popular dance in Korean society, and (3) to promote the social influence and status that dance has by examining the features of popular dance past and pres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무용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