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페터 춤토르 건축의 공간적 분위기를 통한 표리적 공간인식 연구 (A study on the 'Out & In-side' Spatial Perception through the Spatial Atmosphere of Peter Zumthor's Architecture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1.06
14P 미리보기
페터 춤토르 건축의 공간적 분위기를 통한 표리적 공간인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4호 / 55 ~ 68페이지
    · 저자명 : 진제스민, 김주연, 이종세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분위기는 현상학적 배경에서 형성된 미학적 탐구 대상으로 선반성적(先反省的)으로 다가오는 종합적인 배경적 인상이다. 분위기 개념을 건축공간과 조우시킨 건축가는 페터 춤토르이다. 국내의 분위기 개념에 관한 연구는 국외 연구에 의존하고 있어 독창적인 접근과 해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분위기가 동서양 문화권의 이데올로기 속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가정하에 동양적 공간인식론 관점으로 표리적 공간인식을 정립하고 관계성을 파악하여 실증적 공간인 페터 춤토르 건축의 공간적 분위기를 통해 검증함으로써 표리적 공간인식의 관계적 이해를 돕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 이론적 범위는 서양의 미학 연구와 동양적 사상의 존재 및 관계에 대한 인식론에 근거하며, 물리적 범위는 페터 춤토르의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표리와 분위기를 고찰하고, 양자 간의 속성적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표리적 공간인식 해석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다. 둘째, 표리적 공간인식을 해석하고 관계적 요소와 특성을 제시한다. 셋째, 표리적 공간인식의 관계적 요소와 특성 들이 페터 춤토르의 작품 공간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파악하여 공간적 분위기를 표리적 공간인식의 관계성으로 이해하고 가정을 검증한다. (결과) 첫째, 분위기는 주체와 객체들의 관계에서 드러나는 현상의 속성 그 자체이다. 둘째,‘표리적(表裏的)’이란 ‘음·양의 상호 관계 속에 어떤 성격을 띠거나 어떤 상태로 되어있는’또는‘주체(體)의 움직임과 객체의 현상(相)의 관계적 작용(用) 속에 어떤 성격을 띠거나 어떤 상태로 되어있는’을 의미한다. 셋째, 표리적 공간인식은 언어적 측면에서 ‘주체와 객체의 표리적 관계들의 공간적 현상을 감지(感知)하는 것’이며, 현상적 측면에서 ‘표리적 공간들의 드러남 들이 중첩된 그 자체 또는 주체와 객체 사이 관계를 매개하면서 주체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 그 자체, 즉 기운(氣雲)을 감지(感知)하는 것’이다. 넷째, 표리적 공간인식의 관계적 요소는 관, 첩, 역이고, 특징은 대대적 관계에 의한 교호성, 부분과 전체의 합일 관계에 의한 일체성, 인과적 관계에 의한 연속성이다. 다섯째, 공간적 분위기 산출은 표리적 공간인식의 관계성으로 이해된다. (결론) 최종적으로 공간적 분위기는 동양사상에서 표리적 공간인식을 통한 감(感)으로 이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공간적 분위기를 동양사상에 근거한 공간 인식론적 관점으로 해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이후 다양한 관점을 가진 공간인식 연구의 활성화에 일조하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 atmosphere, as the subject of aesthetic inquiry formed from a phenomenological background, is the comprehensive background impression approaching pre-reflexively. Peter Zumtor encountered the concept of atmosphere with the architectural space. Research on the concept of atmosphere in Korea has relied on foreign studies and requires an original approach and interpreta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it can be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in the ideologies of Oriental and Western cultures, this study aimed to contribute to the relational understanding of the “Out & In-side” spatial perception by establishing and grasping the relationship based on the perspective of Oriental spatial perception theory and verifying it through the spatial atmosphere of Peter Zumtor’s architecture. (Method) This was accomplished by first understanding the “Out & In-side” and atmosphere and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reby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Out & In-side” spatial perception. Second, the study presented relational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Out & In-side” spatial perception. Third, the spatial atmosphere was understood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the “Out & In-side” spatial perception, and the assumption was verified by grasping the relational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in Peter Zumtor’s architecture. (Results) First, the atmosphere was the property of the phenomenon reveal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object.
    Second, “Out & In-side” meant “having a certain character or being in a certain st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in and yang or in the relational functioning of the movement of the subject and the phenomena of the object.” Third, “Out & In-side” spatial perception in terms of language meant to sense the spatial phenomena of the “Out & In-side” relations of the subject and object, and, in terms of phenomena, was the superposition of the emergence of “Out & In-side” spaces, or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subject while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that is, the sensing of energy. Fourth, the relational elements of “Out & In-side” spatial perception were intuition, layering, and changes,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reciprocity by the equivalent relationship, unity by the relational cohesion of part and whole, and continuity by the causal relationship. Fifth, the production of the spatial atmosphere could be understood as the relationship sensed through the “Out & In-side” spatial perception. (Conclusions) Finally, the spatial atmosphere can be understood as “SENSE” through “Out & In-side” spatial perception in Oriental though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the first to interpret the perspective of spatial recognition as atmosphere based on Oriental thought. We hope it contributes to the revitalization of spatial perception research with various perspective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