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문집에 묘사된 소매춤[袖舞]의 문학적 형상화 (An Exploration on Literary Figuration and Style of Sleeve Dance (袖舞) Described in Literature Collections of Joseon Dynast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5.06
23P 미리보기
조선시대 문집에 묘사된 소매춤[袖舞]의 문학적 형상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무용역사기록학 / 37권 / 57 ~ 79페이지
    · 저자명 : 김미영

    초록

    본 논문은 조선시대 문집에서 소매춤[袖舞]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를 추출하고 그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그 결과 함축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장수(長袖)’와 ‘취수(翠袖)’, 그리고 소맷자락의 날림을 표현한‘번(飜; 飜然; 艶飜)’․‘편편(翩翩)’․파사(婆娑)’ 등을 추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의 연원과 전범(典 範)의 의미들을 살펴 ‘장수’는 긴 소매라는 글자의 해석에 그칠 것이 아니라 아름다운 무희의 멋진 소매춤으로, ‘취수’는 비취빛 소매만이 아니라 처지가 가엾은 무희와 절묘한 소매춤의 의미까지 읽어내야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소맷자락이 날리는 것을 일반적으로 묘사한 ‘번’ 외에 ‘번연’은 소맷자락이 하늘에 닿을 듯 높이 날리는데 그 변화의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고, ‘염번’은 아리따운무용수와 아름다운 소매춤의 의미가 복합적으로 담겨 있는 언어라는 것, 그리고 ‘편편’은 가볍고 우아하며 고요한 소맷자락의 날림을 표현한 것이며, ‘파사’는 흥에 겨워 자유롭게 움직이는 정형화되지 않은소매 움직임을 묘사한 언어로 쓰였다는 것을 밝혔다. 한편 이러한 표현들은 모두 『시경(詩經)』과 당시(唐詩)를 전범으로 하고 있다는 점과 이러한 현상은 의고주의(擬古主義)의 일면이라는 점도 강조하였다.
    본 논문은 처음으로 ‘수무(袖舞)’를 논의의 중심에 놓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tracted the literary figuration of the Sleeve Dance (袖舞) from the literature collections of Joseon Dynasty, and explored its meaning and style. As a result, the study extracted not only ‘Jangsu (長袖)’ and ‘Chuisu (翠袖)’ with connotative meanings, but also ‘Bun (飜: Bunyeon 飜然: Yeombun 艶飜)’ and ‘Pyeonpyeon (翩翩)’ the specific descriptions for fluttering sleeves, and ‘Pasa (婆娑)’ the description for non-conventional dance. After exploring the meanings of their origins and exemplary standards, the study emphasized that ‘Jangsu’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the shape of a long sleeve but also a gorgeous sleeve dance of a beautiful dancer, and ‘Chuisu’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the color of a green sleeve but also an excellent sleeve dance of a pitiable dancer. The study also confirmed that ‘Bun’ was a general description for a fluttering sleeve, ‘Bunyeon’ was a description for a sleeve fluttering high enough to touch the sky and changing very quickly, ‘Yeombun’ was a complex description for the combination of a beautiful dancer and beautiful sleeve, ‘Pyeonpyeon’ was a description for a very thin and light silk sleeve fluttering like a butterfly, and ‘Pasa’ was a description for a sleeve movement which was more rough and non-conventional than an ordinary sleeve dance which generally moved light and swift. Those descriptions were confirmed to be based on the standards from the Classic of Poetry (詩經) and Tang Poetry (唐詩), and these phenomenons were confirmed to be the part of Classicism (擬古主義).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o bring ‘Sumu’ in the center of discussio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용역사기록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