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춤 문화유산을 적용한 공연예술 활성화 연구 (Study of Invigorate The Performing Art With Korean Dance Cultural Heritage)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2.12
19P 미리보기
한국 춤 문화유산을 적용한 공연예술 활성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용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용연구 / 30권 / 3호 / 263 ~ 281페이지
    · 저자명 : 윤덕경

    초록

    무형문화에 대한 관심은 최근 국제적 흐름과 같이 유네스코 정책의 변화에서도 알 수 있다. 유네스코는 얼마 전부터 세계문화유산정책을 수정 강화하여 인간문화재 정책을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으로 볼 때 인류문화의 보호를 위하여 근대사회 이후에 등장한 문화재에 대한 관심은 세계 각국이 자국민족의 정체성 확보를 위하여 세계화시대에 생존전략인 자국의 독특성을 위해서 서로 다투어 보호하고 있다. 하지만 진정한 의미에서의 각국의 문화정체성 확립을 통한 전통의 전승과 보존은 인류문화를 풍성하게 하는 문화의 다양성에서 그 의미를 찾아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유네스코 세계 무형유산 중에 한국 춤 무형문화재를 보존하고 계승하여 전승하는데 큰 의미를 두고 있으며 더 나아가 한국 춤 문화유산을 적용하는 춤 공연 시장의 확장과 함께 보다 전문화되고 세분화 하여 다양한 창작 공연형태로 발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이것을 공연예술로 활성화 하여 그 지역에 축제나 제의뿐 아니라 다른 공간에서의 무대예술로서 그 다원적 관점으로 활용하여야 하며 창의성 있는 공연예술 형태로서의 이행과 이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하여 한국 춤 문화유산이 박제된 채로 보존하는 것 뿐 만 아니라 현재를 살고 있는 사람 속에서 녹아 살아있어야 하고 또 다른 전통으로 후계에 계승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공연예술센터와 (사)한국무용연구회가 주최한 한국무용제전의 출연작품들을 통하여 공연예술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 춤 문화유산들을 통한 공연예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각 지역축제를 지정 된 날과 제한된 공간 뿐 아니라 새로운 공간과 새로운 무대를 통해 한국의 자랑스럽고 소중한 문화유산을 공연 예술화하여 다양한 무대에서 춤으로 해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 춤 문화유산을 적용하여 춤 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연구하여 전통성과 창의력, 대중성과 예술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당위성을 주장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Current rapid growth of interest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an be easily found through changing of international circumstances, such as UNESCO’s recent effort to improve its policies concerning human cultural assets. UNESCO has modified and tightened its policies of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this context, most countries of the world try to protect and introduce their cultural properties to preserve their cultural identities and raise their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However, in the true sense of the meaning that establishes their cultural identitie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hould be studied as aspect of cultural diversities that helps the cultures more abundant. This study shows the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Korean dance cultural heritage as one of important world intangible heritages that UNESCO designated, and the study insists the dance should be subdivided by expanding dance performing field. Moreover,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should be revved up as a culture, and, as a performing art, it should be studied as a creative art form, too. I, as a researcher and dancer, introduce Gangneung Danoje Festival as a great example of Korean laminating culture and suggest ways to vitalize dance performing art. This research, based on Korean traditional dance, tries to secure diversity of cultural aspects from creative work on a stage. To do that, the festival shouldn’t be limited in specific space and time, but it must be spread and express its proud and precious cultural heritage to new space and new stage. To vitalize dance culture, studies of various methods are needed with tradition and creativity and popularity and artis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용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