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주별산대놀이 깨끼춤의 전승양상 고찰 -‘기본춤’과 ‘모둠깨끼’를 중심으로- (A Review on the Transmission Aspect of Ggeggi Dance of Yangju Byeolsandaenori -Focused on the Basic Dance and Modum-ggeggi-)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8.06
28P 미리보기
양주별산대놀이 깨끼춤의 전승양상 고찰 -‘기본춤’과 ‘모둠깨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54호 / 265 ~ 292페이지
    · 저자명 : 박인수

    초록

    본 연구는 양주별산대놀이의 ‘기본춤’과 ‘모둠깨끼’의 형성배경과 구성 및 연행형식을 살펴보고 두 작품이 양주별산대놀이 깨끼춤의 전승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기본춤은 김상용과 박교응이 함께 정리하여 연행해오던 맞춤이었다. 1975년 무렵 대학생 전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기존 두 연희자에 의해 정리된 맞춤이 활용되었고, 이는 점차 양주별산대놀이 기본춤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기본춤은 기존 과장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춤사위를 중심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배역과 배역의 갈등을 표현하는 대무로 정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둠깨끼는 현 전수조교로 활동 중인 석종관에 의해 2002년부터 정리되기 시작한 것으로 2004년부터는 양주별산대놀이 보존회 회원들에게 인정받아 본격적으로 보존회 내부에서 연행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2008년부터 보존회 회원 이외의 전수활동에서도 이를 활용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모둠깨끼는 기본춤을 바탕으로 구성된 것으로 기본춤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대부분의 깨끼식 사위를 모아 새롭게 구성한 춤이다. 모둠깨끼가 제작된 이후 기존보다 체계적인 전수가 가능해졌으며, 기존 2분가량 되는 작품이 6분으로 늘어나 공연물로서의 기능도 강화되었다. 앞으로도 보존과 전승을 위한 춤의 정형화 작업과 함께 정리된 춤사위를 활용하여 현장에서의 즉흥성을 살리며 연행할 수 있도록 이어나갔으면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background, composition and format of Gibon-ggeggi(basic dance) and Modum-ggeggi of Yangju Byeolsandae Nori. It analyzes the influence of two works on passing down of Yangju Byeolsandae Nori ggaeggi dance. First, basic dance is a matchum that Kim Sang-yong and Park Gyo-eung organized and performed.
    In 1975, Matchum, the dancing movements which was put together by those two performers was used in college students’ course of passing down of Yangju Byeolsandae Nori. Over the time, it has been settled as the basic dance of the Yangju Byeolsandae Nori.
    It is confirmed that the basic dance consists of most frequently used dance movements from pre-existing chapters and that it was arranged in the form of confrontational dance expressing the conflicts between the characters.
    Modum-ggeggi began to be put in order in 2002 by Seok Jong-gwan, an assistant in Modum-ggeggi classes. Starting 2004, it was recognized by members of Yangju Byeolsandae Nori Preservation Society and was actively put in performances within the Preservation Society. Since 2008 and Modum-ggeggi has been also used outside of Preservation Society for passing down of the Yangju Byeolsandae Nori and has been used widely until now.
    Modum-ggeggi, a newly composed dance based on Gibon-ggeggi dance, is assortment of most Ggeggi-type movements which are not included in Gibon-ggeggi dance. Making of Modum-ggeggi enabled structural passing of Yangju Byeolsandae Nori than before. The fact that it developed the previous length of 2 minute to 6 minute, it functions better as a performance act. Ggeggi dance of Yangju Byeolsandae Nori will be able to continue its creative succession, if, along with the standardization of dance to preserve and pass down to the next generation, the dance movements are used in the field to be improvised and perform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