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항일영웅과 역사의 연극미학적 재현 ― 고려인 극작가 태장춘의 희곡 「홍범도」 (A Study on a Drama 「Hong, Beom-Do」 Created by Tae, Jang-Cho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12.09
34P 미리보기
항일영웅과 역사의 연극미학적 재현 ― 고려인 극작가 태장춘의 희곡 「홍범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79호 / 337 ~ 370페이지
    · 저자명 : 조규익

    초록

    태장춘은 원래 3부작으로 홍범도의 생애를 그려낼 생각이었으나, 뜻하지 않은 이른 죽음으로 1부작인 「홍범도」[원래의 제목은 「의병들」이었으나, 홍범도 사후 「홍범도」로 改題]만을 남겨 놓게 되었다. 「홍범도」에는 주인공 홍범도와 30여명의 附帶인물들이 등장하며, 그들의 액션은 네 개의 幕과 네 개의 場으로 세분되는 짜임을 보여주는데, ‘홍범도와 의병을 토벌하려는 일본군의 흉계와 조선인들의 반역적행위’[제1막], ‘홍범도를 제거하려는 일본군 음모의 실행과 삯빨래군 순선의 협조및 배신자 월향의 전향’[제2막 1장], ‘홍범도와 의병을 잡겠다는 조선인 반역자들의활동과 선량한 조선 백성의 희생 및 홍범도의 지략’[제2막 2장], ‘일본군을 격멸하려는 홍범도의 지략과 배신자 우진에 의한 전향자 월향의 죽음’[제3막 1장], ‘홍범도의 지략으로 일본군과 조선인 반역자들이 모두 체포되고 배신자 우진의 계략으로조선인 반역자들은 위기를 모면함’[제3막 2장], ‘홍범도는 우진을 비롯한 조선인 배신자들을 일망타진한 뒤 밀려오는 일본군을 향해 나아갈 것을 주장’[제4막] 등이 그 주요 내용이다. 특징으로는 ‘살아 있는 주인공과 작가의 대화를 통해 주인공의 체험을 작품화 시켰다는 점에서 작품 자체가 실화극 내지는 역사극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는 것’, ‘주인공 홍범도는 일본군을 대상으로 의병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공을 세웠고, 그로 인해 민중들 사이에 전설적 영웅으로 자리를 잡은 존재였으나, 주인공의 영웅성을 과장하지 말고 주변 인물들의 활약상을 부각시켜 달라는 홍범도 자신의 주문을 충실히 이행한 작가는 자신의 상상력을 최소화시키고, 작품의사실성을 극대화시킬 수밖에 없었다는 것’, ‘홍범도 잡기와 일본군 잡기라는 상반되는 서사들을 작품의 두 축으로 제시하고, 각각의 범주에 배신․기만․날조․염탐․사냥․함정․복수 등의 모티프를 설정함으로써 민족에 대한 사랑과 미래에 대한 희망이란 주제를 구현할 수 있었다는 것’, ‘비록 실존하던 주인공의 강한 주문에따라 철저한 사실성의 구현을 지향했으면서도, 전설적 영웅이자 호랑이 잡던 백두산 포수라는 홍범도의 이미지를 이야기 전개의 미학적 요소로 드러나지 않게 군데군데 끼워 넣음으로써 관객이나 독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데 성공했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영어초록

    Tae, Jang-Choon intended to describe the life of Hong, Beom-Do in a trilogy[the current 「Hong, Bum-Do」 displayed a natural and unconscious fight / the seoond volume of the trilogy planed to display the process to be a commander of partisan under influence of the Bolshevik / the third volume of the trilogy planed to display the process to be an ideal and evident revolutionist as well as an internationalist]. However, he left 「Hong,Bum-Do」 only the first volume of the trilogy[the first title was 「Patriotic soldiers」, however, it was changed to 「Hong, Bum-Do」 after his death]. At that time, although some people criticized that the work had some problems in the aesthetic aspect, got a good valuation generally in the reason of faithful reflection about historical facts or successiveness in its reproduction.
    Hong left 「Diary of Hong, Beom-Do」, the document looked back on his whole life, it was primary material of drama 「Hong, Beom-Do」. When he resisted against Japanese tyranny in Ham'gyeong province was the most important time in his life, Tae faithfully reflected it in the drama 「Hong,Beom-Do」. Protagonist Hong, Beom-Do and more than 30 members'subsidiary characters in the drama, their actions are constructed with 4 acts and 4 scenes. The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 drama summarized and presented as follows ;1. The drama has a characteristic of drama about real story or about history in the point of making into a work through a communication between a live protagonist and play writer.
    2. The protagonist Hong, Beom-Do made a contribution in the process of patriotic soldiers' action against Japanese soldiers, by it he could take a sit in the people as a legendary hero. However, the writer who fulfilled the real Hong, Beom-Do's request not exaggerating the protagonist's heroic nature but bringing the subsidiary characters' action into relief could not help minimizing his imagination, and maximizing reality of the work.
    3. With presenting the conflicting narrations as 'arresting Hong, Beom-Do'and 'arresting Japanese army', and establishing the motifs of 'betrayal,deception, fabrication, spying, hunting, trap, revenge', he could realize the theme of 'love for the nation and hope for the future'.
    4. Although Tae aimed for thorough realization of reality following the living protagonist's request, he succeeded to arouse the audience's interest with furtively inserting here and there the image of Hong,Beom-Do like 'a legendary hero' as well as 'hunter in the Mt. Baekdoo caught tigers' as an aesthetic el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