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장소’ 내부의 ‘예외상태’가 보내는 시선 - 김애란의 <하루의 축>을 중심으로 (The Eyes from ‘State of Exception’ inside ‘Non-place’ - Focusing on Kim Ae-ran’s 「Axis of a Da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2.02
34P 미리보기
‘비장소’ 내부의 ‘예외상태’가 보내는 시선 - 김애란의 &lt;하루의 축&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76호 / 351 ~ 384페이지
    · 저자명 : 박권주

    초록

    이 논문은 김애란의 <하루의 축>을 바탕으로 소설 공간을 비장소의 관점에서, 소설 공간과 상호작용하는 인물은 호모 사케르의 관점에서 논의한다. 공간성이 강한 소설은 그 공간의 특징, 인물의 심리, 공간과 인물의 상호작용 양상, 공간 내부에서의 인물간의 상호작용 양상을 중점적으로 포착할 필요가 있다. <하루의 축>은 사건의 뚜렷한 인과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주인공 기옥이 공간을 이동함에 따라 드러나는 기옥의 심리와 과거 회상, 공간에서 우연하게 마주치는 다른 인물들과의 상호작용이 서사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마르크 오제의 비장소는 세계화와 신자유주의가 구축한 공간이다. 그리고 비장소는 이동성이 강하고, 이용자에게 일시적인 정체성을 부여한다. 이용자는 비장소와의 계약을 통해 비장소를 이용할 권한을 갖는다. 비장소의 범위는 대도시 내부의 소비 공간만이 아니라, 정치적 폭력과 경제적 양극화가 시스템 바깥으로 빈민과 난민의 임시 거처들까지를 포함한다.
    <하루의 축>의 주인공인 기옥은 세계화에 대한 자각이 없지만, 화자는 이를 인식하고 있다는 징후들이 있다. 기옥은 ‘집 → 공항의 화장실 → 공항 외부의 벤치 → 공항’의 순서로 이동한다. ‘집’과 ‘공항’이 소설의 중심 공간인 것이다. 이때, 기옥의 집은 빈민의 공간이다. 기옥의 거주지는 세계화로 인해 파생되고 동시에 세계화라는 환상에서 배제된 공간이다. 공항은 대표적인 비장소인데, 공항 화장실의 이용자들은 유연적 노동자인 기옥을 비가시적 존재로 대한다.
    기옥은 단란한 가정을 이루는 것이 꿈이었으나, 아들 영웅이 절도로 교도소에 가는 바람에 그 꿈이 깨진다. 기옥의 희망은 결핍으로 남고 ‘탈모’라는 증상을 남긴다. 그런데 기옥의 증상은 개인적 증상일 뿐 아니라, 신자유주의적 질서의 모순을 보여주는 사회적 증상이다. 이에 따라 기옥은 세계화의 흐름 속에 존재하지만 배제된 ‘호모 사케르’인 것이다. 내포작가는 이러한 기옥의 응시를 독자에게 보여주어 독자의 응답을 간접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하루의 축>의 공간은 세계화로 인해 구축된 비장소적 성격을 갖는다. 비장소는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적 질서 내부에 포함되어 있지만 배제된 공간을 포함한다. 나아가 이 소설은 비장소의 내부에 은폐된 ‘호모 사케르’가 있다는 것을 가시화한다. 비장소와 예외상태에 놓인 존재를 함께 사유할 여지를 준다는 점에서<하루의 축>은 의의가 있는 소설이다.

    영어초록

    Based on Kim Ae-ran’s 「Axis of a Day」, this thesis discusses the novel space from the point of view of ‘non-place’, and the person who interacts with the novel space from the point of view of ‘Homo Sacer’. A novel with strong spatiality needs to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pace and the character,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haracters in the space. the 「Axis of a Day」 does not have a clear causality of the event. instead, the psychology and past recollection revealed in the process of Ki-ok, the main character, moving through space, and The interaction with other characters that Ki-ok accidentally encounters in a space forms the center of the narrative.
    Marc Auger’s ‘non-place’ is highly mobile and gives users a temporary identity. Users of ‘non-place’ obtain the right to use ‘non-place’ through a contract with ‘non-place’. The ‘non-place’ is a space constructed by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sm. The scope of ‘non-place’ includes not only consumption spaces inside large cities, but also temporary shelters for the poor and refugees created by political violence and economic polarization.
    Ki-ok, the main character of 「Axis of a Day」, is not aware of globalization, but there are signs that the narrator is aware of it. Ki-ok moves in the order of ‘home → toilet at the airport → bench outside the airport → airport’. ‘Home’ and ‘airport’ are the central spaces of this novel. At this time, Ki-ok's house is the space of the poor. Ki-ok’s residence is a space derived from globalization and excluded from the illusion of globalization. Airports are a typical ‘non-place’, but users of airport toilets treat Ki-ok, a flexible worker, as an invisible entity.
    Ki-ok’s dream was to have a happy family, but his dream is broken when his son, Yeong-ung, goes to prison for theft. Ki-ok’s hope remains her lack, and she leaves a symptom of ‘hair loss’. However, the symptoms of Ki-ok are not only individual symptoms, but also social symptoms that show the contradiction of the neoliberal order. Accordingly, Ki-ok is a ‘Homo Sacer’ that exists in the flow of globalization but is excluded at the same time.
    The space of 「Axis of a Day」 has the character of a ‘non-place’ constructed due to globalization. Furthermore, this novel reveals that there is a hidden ‘Homo Sacer’ inside the ‘non-place’. 「The Axis of a Day」 is a meaningful novel in that it gives room to both think about the ‘non-place’ and the existence in the state of excep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