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상저작자의 추가보상청구권에 대한 저작권법 개정안의 문제점 및 해외사례 연구 - 상업적 및 경제적, 법률적 관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roblems and Overseas Cases of the Amendment to the Copyright Act on the Additional Remuneration Rights of Audio Visual Authors - Focusing on Commercial, Economic and Legal Perspectives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0 최종저작일 2023.09
28P 미리보기
영상저작자의 추가보상청구권에 대한 저작권법 개정안의 문제점 및 해외사례 연구 - 상업적 및 경제적, 법률적 관점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저작권위원회
    · 수록지 정보 : 계간 저작권 / 36권 / 3호 / 179 ~ 206페이지
    · 저자명 : 손보영

    초록

    최근 <오징어게임>,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등 다수의 한국 콘텐츠는 국내를 넘어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비약적 성장의 배경에는 국내외 산업 관계자들의 깊은 수고와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는 콘텐츠가 증가하면서 국내 제작사뿐만 아니라 글로벌 제작사도 한국 콘텐츠 산업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하나의 콘텐츠의 성공이 또 다른 투자를 이끌어내는 선순환 구조를 갖추게된 것이다. 현재 한국의 콘텐츠 산업은 성장기를 넘어 전성기를 향해 순항 중이다.
    한편, 성공하는 콘텐츠가 증가하면서 그 성공에서 발생하는 이익을 충분히 보상받지못했다는 목소리가 영상저작물의 감독과 각본가 등 영상저작자를 중심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이슈 제기 후 영상저작자에게 추가 보상권을 부여하는 것을 골자로 한 저작권법 개정안이 발의되었고, 현재까지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저작권법 개정안은영상저작자의 이익 증진에만 집중한 나머지 상업적·경제적, 법률적인 측면에서 다음과같은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첫 번째로, 상업적·경제적인 측면에서 산업 특성과의 부조화, 계약자유의 침해, 투자 감소 등 제도 변화 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항목들이충분히 검토되지 않아 향후 제도 시행 시 부작용 발생에 대한 우려가 있다. 두 번째로, 법률적인 측면에서 헌법적·입법적 고려사항 등이 적절하게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제도 도입의 근거로 설명한 해외사례들이 보편성을 확보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영상산업은 다수의 이해관계자가 얽혀있다는 특성이 존재한다. 우리 저작권법은 ‘문화창달’이라는 궁극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영상저작물 특례를 규정하여 이해관계자들간의 복잡한 관계를 정리하였다. 영상산업 생태계가 선순환 체계로 정착되는 데 수십 년이 걸려왔다. 하지만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저작권법 개정안으로 인해 자칫 한국 콘텐츠가 전성기를 맞이하지 못하고 기존 콘텐츠 산업의 선순환 생태계가 훼손될 수도 있는상황에 대해 많은 이해당사자들이 우려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저작권법 개정안에 대한 상업적·경제적 그리고 법률적인 고려사항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콘텐츠 산업도 시장이 성장하면서성장통이 함께 오기 마련이다. 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이해관계자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합리적인 제도 마련이 중요한 시점으로, 저작권법 개정안에 대한 합리적인 비판과 대안을 제시코자 한다.

    영어초록

    Recently, a number of Korean content, such as <Squid Game> and <Extraordinary Attorney Woo>, are not only loved in Korea but also around the world. Behind this remarkable growth is the deep dedication and effort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dustry stakeholders. As number of domestic content garner success around the world, domestic and global production companies are strengthening their investment in Korean content. It means that a virtuous cycle structure in which the success of one content leads to another investment has been established. Currently, Korea’s content industry is cruising toward its golden age beyond the growth period.
    On the other hand, as the number of successful content increase, there is growing voice among audiovisual creators, including directors and screenwriters, that they are not adequately compensated for the profits generated by their success. In response to these concerns, several amendments to the Copyright Act were proposed to grant additional remuneration rights to Authors, and discussions are still ongoing. However, there are doubts about whether this amendment focuses only on the enhancing the benefits of the Authors and lacks consideration for commercial, economic, and legal aspects. First, from the commercial and economic point of view, it seems that the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essential for institutional change, such as disharmony with industrial characteristics, infringement on freedom of contract, and reduction in investment, have not been reviewed. Second, from a legal point of view, it seems that foreign cases and constitutional and legislative considerations were not properly reviewed.
    The audiovisual industry involves multiple stakeholders, and our Copyright Act has established Special Cases Concerning Cinematographic Works provision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creating culture’ and to organize the co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stakeholders. It took decades for the industry ecosystem to settle into a virtuous cycle system. For these reasons, many stakeholders are concerned that Korean content industry will not reach its golden ages due to the amendment to the Copyright Act.
    currently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Therefore, this aims to examine the commercial, economic, and legal considerations of the amendment to the Copyright Act. Like any other business, the content industry may experience growing pains as the market grows. Whil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reasonable system that may coexist with all stakeholders, legislation may not be the means and will present a reasonable alternative to the amendment to the Copyright A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