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추가보상청구권에 대한 검토; 헌법적 관점에서 (Review on the Authors' Claims for Additional Remunderation ; From a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23.12
21P 미리보기
추가보상청구권에 대한 검토; 헌법적 관점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 / 17권 / 2호 / 5 ~ 25페이지
    · 저자명 : 이규홍

    초록

    K-콘텐츠의 글로벌 흥행을 계기로 추가보상청구권 도입에 대한 논쟁이 저작권법 일부개정법률안 발의로 본격화되고 있다. 원래 저작권과 관련된 예상 외의 수입증가와 저작권자 보호 사이의 갈등문제는 추급권, 종결권 등 각국의 역사적 배경에 따른 입법례 등에서 논의되어 온 주제이다. 그런 시각에서 추가보상청구권 등을 통한 창작자 보호 문제는 저작권의 특수성 반영이라는 전제하에 창작자 및 유통관련자(자본투자자)의 이익 균형이라는 관점에서 문화강국이 된 한국사회의 새로운 쟁점이 된 것이다. 그러므로 당연히 필요한 저작권법, 나아가 사법(私法)의 모법이랄 수 있는 민법적 검토 외에 헌법적 검토가 필요한 것은, 향후 이 조항이 어떤 방식으로 입법되어도 헌법적 판단을 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합헌적 입법을 위하여는 청구권의 내용(청구상대방)에 비추어 첫째, 그 청구상대방을 계약당사자로 삼을 때의 쟁점(새로운 권리창출이 사적자치의 원칙을 제한하는가하는 쟁점), 둘째, 그 청구상대방을 제3자(영상저작물최종제공자 포함)로 삼을 때의 쟁점[위 쟁점에 추가하여 다른 영업주체의 재산권(나아가 직업수행 자유) 침해 가능성으로 인한 기본권의 충돌 쟁점]으로 나누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쟁점에 대한 합당한 결론을 내리기 위하여는 우선,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자연스럽게 역사적으로 제도설계되어 정립되어 온 유럽, 특히 독일, 프랑스의 입법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다음 위와 같은 비교법적 검토 이후 우리나라의 저작권시장에서의 관련 법규와 관행을 깊이 고려하여, 한국에서의 창작자들 및 유통관련자(자본투자자)의 이해관계의 균형점을 추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헌법적 관점에서 사적자치의 원칙, 재산권, 직업수행의 자유 등 기본권 충돌 상황으로 드러나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With the global success of K-contents, the debate over the introduction of authors' claims for additional remunderation is in full swing with the proposal of a bill to partially revise the Copyright Act. Originally, the discord between unexpected increase in income related to copyright and the protection of copyright holders is the topic that have been discussed in legislative parts according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each country, such as the resale right, termination right. From that perspective, the issue of creator protection through the right to claim additional remunderation has become a new issue in Korean society, which has become a cultural powerhouse, from the perspective of balancing the interests of creators and distribution-related parties(capital investors) under the premise that it reflects the special nature of copyright. Therefore, the reason why a constitutional review is necessary in addition to the copyright law and, furthermore, the civil law review, is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is provision will be subject to a constitutional judgment no matter how it is enacted in the future.
    Therefore, for constitutional legislation, in light of the content of the claim (or the other party to the claim), we can presume two cases, first, the issue of making the contracting party as the other party to the claim (the issue of whether the creation of a new right infringes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second, the issue of making a third party (including the final provider of video works) as the other party to the claim[in addition to the above issues, issues of conflict of basic rights due to the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n other business entities' property rights (and by extension, freedom to practice their profession)].
    In order to reach a reasonable conclusion on these issues, it is necessary to first look at the legislative examples of Europe, especially Germany and France, where the system has been naturally and historically designed and established with a long tradition. Next, after the above comparative legal review, it is necessary to deeply consider related laws and practices in Korea's copyright market and pursue a balance of interests of creators and distribution-related parties (capital investors) in Korea. From a constitutional perspective, this will be revealed as a conflict of basic rights such as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property rights, and freedom to practice one's profe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