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남성 시인들의 시에 발화된 언어적 추(醜)의 한계 (The Modes of the Uttered Linguistic Ugliness in Poems of Korean Male Poets during the 1990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8.08
26P 미리보기
1990년대 남성 시인들의 시에 발화된 언어적 추(醜)의 한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어문화 / 66호 / 201 ~ 226페이지
    · 저자명 : 엄경희

    초록

    본 논문은 욕설과 비속어에 의한 ‘격하’의 방식과 의미를 1990년대 남성 시인의 시에 나타난 ‘개’와 ‘년’의 수사적 확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 후, 그것을 바탕으로 1990년대 시에 나타난 언어적 추의 사회적 의미와 미적 성과를 밝혀내고자 의도한 것이다. 이 글에서 동시대의 여성 시인들이 사용한 추의 언어를 분석 대상에서 배제한 까닭은 논의의 초점이 페미니즘 문제로 귀결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논리 전개를 위해 카를 로젠크란츠의 ‘추의 혼합감정’, 미하일 바흐찐의 ‘탈관(脫冠)’, 김지하의 ‘찬탈’의 의미를 염두에 두었다.
    1990년대 시편에 드러난 비속어와 욕설은 권력과 정치에 대한 환멸, 퇴폐적이고 향락적인 대중문화에 대한 혐오, 무력감에 빠진 지식인들의 냉소와 자학이 응축·반영된 혼합감정의 반항적 표출이라 할 수 있다. 1987년 6월 항쟁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환멸과 쾌락적 소비주의로 점철된 일상의 타락화는 그 자체가 객관적인 ‘추’로 인식될 만큼 혐오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로인한 감정의 폭발이 ‘개새끼’라는 욕설로 집중되어 표출된다는 것이 1990년대 시의 특징이다. 그런데 ‘개’라는 비속한 표현을 통해 시대의 추를 고발함과 동시에 그에 맞서지 못하는 주체의 무력감을 비탄과 격앙의 어조(tone)로 드러낸다는 점 또한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모욕, 경멸, 조소의 의미를 담은 비속어의 활용이 풍자의 수사로 전이되지 못할 경우 시의 비속어는 자기모멸과 비하의 정서를 함축한 비탄의 어조에 머물게 된다.
    ‘개’의 수사적 확대과 더불어 타락한 시대에 대한 비판적 인식의 초점을 ‘서울’, ‘여관방’, ‘창녀촌’ 등 구체적 장소를 통해 맥락화한 시편들이 있는데, 그러한 시편의 특징은 불결한 장소의 속성과 여성의 신체를 환유적 관계망으로 묘사한다는 것이 그 특징이다. 이러한 시편들은 장소의 타락, 즉 시대의 추함을 고발하려는 것이 시적 의도였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여성 폄훼의 측면으로 읽히는 결과를 낳고 있음을 부정하기 어렵다. 즉 시대의 타락을 함의하는 장소의 부정적 의미를 여성 신체와 관련한 비속한 표현으로 빗대는 문맥화의 과정 자체가 가부장적 의식에 의한 관습적 언어사용의 습관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한계는 ‘언어적 추’가 갖는 미학적 효과를 깊이 고려하지 않은 채 감정의 과잉을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에 빚어진 결과로 판단된다. 그런 의미에서 1990년대 남성 시인들의 시에 발화된 언어적 추의 양상은 ‘추의 미학’이 지향해야 하는 김지하의 ‘찬탈’이나 미하일 바흐찐의 ‘탈관’이라는 생산적 의미로까지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On the basis of analysing the ways and senses of abusive and slangy ‘demotion’ by focusing on the rhetorical expansion of terms as ‘gai(bitch)’ and ‘nyon(wench)’ in poems of Korean male poets during the 1990s, this study illuminates the social meanings and aesthetic fruits of linguistic ugliness in Korean poetry during the 1990s. To deter its focus from leading to a feminist problem, it excludes from itself the language of ugliness in poems of Korean female poets. Thus its basic conceptions are ‘the mingled emotions of ugliness’ of Karl Rosenkranz, ‘the de-coronation’ of Mikhail Bakhtin, and ‘the usurpation’ of Kim Ji Ha.
    In poems of Korean male poets during the 1990s, the slangs and abuses exposed the disillusion at power and politics, the disgust at decadent and merrymaking popular culture, and the languid intellects' mental revolt with condensing and reflecting their sneers and self-torments. Despite the results of The June Struggle of 1987, the daily decadence full of the disillusion at political ideologies and of the merrymaking consumerism became a disgustful tendency as much as to be perceived as an objective ‘ugliness.’ This featured Korean poetry during the 1990s by exploding the spiteful sentiments typically as the abuse ‘gaisekki(a son of a bitch).’ It is another important trait that its slangy term ‘gai’ denounced its contemporary ugliness while its grievous and furious tone exhibited the languid sentiment of a subject incapable of struggling against the ugliness. If the usage of scornful, contemptuous and jeering slangs is not transferred into the satirical rhetorics, the slangs in poems are only within a grievous tone full of the self-scornful and self-humble emotions.
    The metonymic description of dirty spatiality and female body featured the poems whose critical focus to recognize the decadent tendency was contextualized by the rhetorical expansion of ‘gai’ as well as by the concrete spatiality of ‘Seoul,’ ‘a inn-room,’ and ‘brothels.’ The poetic intent of theses poems to denounce the ugliness of the age for the spatial decadence is difficult to deny itself to be read eventually rather as the female denigration. The conventional usage of language under the patriarchal mentality is not like to be independent of the very process of contextualization that the slangy terms about the female body expressed metonymically the negative spatial meaning of the decadent tendency. This was a limit to the poems incapable of escaping from their sentimental excesses indifferent to think deeply aesthetic effects of the ‘linguistic ugli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어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