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崔時亨의 동학재건 활동과 교권장악-강원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onstruction activity of Donghak and ecclesiastical authority domination on the part of Hae Wol Choe Sihyeong Around Kangwon Region)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7.05
21P 미리보기
崔時亨의 동학재건 활동과 교권장악-강원지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20권 / 1호 / 193 ~ 213페이지
    · 저자명 : 임호민

    초록

    동학 2대 교주 최시형(1827~1898)은 교조 최제우가 처형당한 후 동학교단을 재건한 인물이다. 최시형은 두 번에 걸쳐 동학 재건을 추진하였는데, 1차는 최제우 처형 이후 교조신원운동과 장자 세정 사후 동경대전을 간행한 시점이고, 2차는 2차동학농민운동 이후이다. 두 번의 재건과정에서 최시형은 강원도 인제․양양․정선․영월 등지를 핵심 활동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인제가 동학의 1차 재건활동의 근거지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최시형이 교조신원운동 이후 피신하면서 교조의 일가를 영월, 인제, 정선 등지로 피난시켜 가면서 도통의 적통을 유지하려고 한 점, 가계도상 교조 최제우의 도통을 이을 수 있었던 장자 세정이 인제 귀둔리에 머물렀고, 실질적인 2대 교조 역할을 수행하였던 최시형이 교조 최제우를 위한 득도의례, 치성제, 조난향례, 기도식 등 의례를 장자가 살고 있었던 인제지역을 중심으로 거행한 점, 그리고 관군의 추격을 받던 동학교도들이 지형적으로 산세가 험한 인제군 남면 일대를 피신처로 활용하였던 점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최시형의 2차 동학 재건활동은 동학동민운동 이후이다. 당시 수세에 몰렸던 동학조직은 거의 와해 직전이었는데, 최시형은 강원지역으로 잠입하여 흩어져 있던 교도를 비밀리에 접촉하면서 조직을 재건하고자 하였다.
    1880년 최시형이 인제군 갑둔리에 경전간행소를 설치하고 인쇄를 하였던 사실은 그가 최제우의 장자 세정이 체포되어 처형된 이후 실질적인 교권을 확보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1880년 인제 갑둔리에서 『동경대전』이 처음 간행되었다는 점은 최시형이 2대 교주로서 동학의 체계화를 이루고 실질적인 교권을 행사하기 시작하였던 시기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second leader of Donghak, Choe Sihyeong, is the one who reestablished Donghak after the founder, Choe Jeu, was esecuted. He proceeded with reestablishment twice. The first was when he led the Gyojo Shinwon Movement after Choe Jeu was executed, and when he published Donggyeong Daejeon after the death of Sejung, the eldest son of Choe Jeu. The second was when Donghak collapsed at an alarming rate after the second Donghak Peasants Revolution. Throughout this process, he established Inje as the center of Donghak.




    The followings are the basis to call Inje as the base of reestablishment movements. Fleeing after the Gyojo Shinwon Movement, Choe Sihyeong evacuated the leader’s family to Yeongwol, Inje, Jeongseon, and other areas in Gangwon-province. Sejung stayed in Gwidun-ri located in Inje. Choe Sihyeong, the de facto second leader, carried out rites such as Deukdo Euirye, Chisungje, Jonanhyangrye, and prayers for Choe Jeu with Inje as the center. In addition, Donghak followers took the advantage of the rugged mountain terrain of Nam-myeon, Inje in order to avoid the pursuit of the royal forces.




    In 1880, Donggyeong Daejeon was published in Gapdun-ri, Inje. It has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Choe Sihyeong was able to systemize Donghak and gain control of it. In the same year, Choe built an office for publishing scriptures in Gapdun-ri, Inje. It was the origin of all scriptures of Donghak, which have been passed down up until these days. He tried to rebuild Donghak for the second time in secret, but his plan died on the vine due to whistle blow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