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구소득과 기부노력 간 관계에 관한 연구 - 총 기부노력과 세속적 기부노력에 대한 비교분석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Philanthropic Effort - Analysis on Total Philanthropic Effort and Secular Philanthropic Effort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9 최종저작일 2019.02
33P 미리보기
가구소득과 기부노력 간 관계에 관한 연구 - 총 기부노력과 세속적 기부노력에 대한 비교분석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71권 / 1호 / 47 ~ 79페이지
    · 저자명 : 강철희, 장재혁, 이영빈

    초록

    본 연구는 소득 규모의 영향과 상관없이 기부활동의 적극성을 파악하는데 핵심적 개념인 기부노력에초점을 둔다. 즉 소득과 정적 선행관계를 갖는 기부의 절대적 규모가 아닌 소득 대비 상대적 기부규모에초점을 둔다. 분석에서는 가구 단위에 초점을 두고 기부노력에의 영향 요인을 검증한다. 기부노력의경우, 국내 기부 연구에서 분석해 온 세속적 기부노력뿐만 아니라 해외 기부 연구에서 분석해 온종교적 기부와 세속적 기부 모두를 포괄한 총 기부노력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국내외 연구의 경향을모두 반영하는 이런 비교 차원의 접근을 통해 기부노력에 대한 이해를 심화 및 정교화 시켜 보고자한다. 분석모형 검증을 위해 2012년부터 2016년까지의 재정패널자료를 활용하고 패널토빗모형을사용한다. 또한 영향요인과 관련해서는 가구소득을 중심으로 다양한 가구 재정지표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반영해서 분석한다. 분석결과, 가구소득과 총 기부노력은 부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U자 형태의 관계를 보고하는 국외 연구결과들과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세속적 기부노력에서는가구소득이 역 U자 형태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총 기부노력과 세속적 기부노력 모두에서 조세 역시 역 U자의 관계를 갖고, 주거비 비율(-), 문화여가비 비율(+), 상호부조적기부금 비율(+), 가구주 교육수준(+), 가구주 성별(여성)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속적 기부노력의 경우, 보완재와 대체제 기능 검증의 핵심 변수인 종교적기부금 비율은 부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기존 연구결과와의 정교한 비교를 위해 총 기부노력과 세속적 기부노력으로 구분하며 가구소득을 포함한 가구 재정지표 변수들의 영향력을 종합적으로 검증한 본 연구는 기부활동의 적극성 수준을 나타내는 개념인 기부노력에 대한 이해를 더욱 확장 및 심화시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philanthropic effort (the ratio of donation in household income), which is a key concept in grasping giving activeness. That is, the paper deals with the relative giving amount to income rather than the absolute giving amount which has a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with income.
    While this paper focuses on household level not individual level in measurement of giving, it examines key factors influencing philanthropic efforts. In dealing with philanthropic efforts, this paper covers not only secular philanthropic effort that have been analyzed in most studies in Korea, but also total philanthropic effort which includes both religious and secular giving that has been analyzed in overseas studies. Through this comparative approach, which reflects both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trends, this paper elaborates and promotes our understanding of philanthropic efforts. For the analysis, this paper employs panel Tobit model on the Financial Panel Data from 2012 to 2016 by Korean Institute of Public Finance. The analysis is conducted rigorously and comprehensively by using various household financial variables including household income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 household income h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total philanthropic effort, which is notably different from the U-shape hypothesis. In the case of secular philanthropic effort, household income has a significant inverted U-shape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following variables are also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both total philanthropic effort and secular philanthropic effort: size of taxation (inverted-U relationship), ratio of housing expenses (-), ratio of culture & recreational expenses (+), ratio of mutual-aid giving (+), and education level of householder (+), and gender (female) of householder. Finally, in the case of secular philanthropic effort, ratio of religious giving h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it shows a substitutiv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giving and secular giving.
    Comprehensively and rigorously examining the influence of household financial factors on two types of philanthropic effort (total philanthropic effort and secular philanthropic effort) which indicates giving activeness, this paper contributes to broadening and deepening our understanding regarding philanthropic behavior at the level of househo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2 오전